'한 나라의 과거를 보려면 박물관에 가고 현재를 알려면 시장에 가보라'는 말이 있다. 필자는 과거보다 현재를 중요시해서인지, 아니면 시장과 인연이 많아서인지 그간 500여 개의 국내외 시장을 돌아보았다. 그중 우리나라 전통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만한, 신선하고 특이한 맛이 나는 빅투알리엔 시장(Viktualien Market)을 다시 한 번 구경하고자 한다.
뮌헨에 있는 빅투알리엔 시장은 신선식품, 꽃, 과일, 조리된 고기, 치즈, 햄 등을 판매하는 야외시장이며, 많은 시민과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이다. 2만2천㎡ 면적에 140여 개의 점포들이 들어서 있고, 역사가 200여 년이나 된다. 입구에 들어서면 큰 고목과 '비어 가든'(beer garden)을 비롯한 카페, 베이커리 등이 한눈에 들어오고 채소, 과일, 꿀, 가금류, 달걀, 육류, 허브, 향신료, 차, 와인 등이 펼쳐진다.
빅투알리엔 시장의 특징은 먼저 꽤 큰 규모의 비어 가든이 있다는 점이다. 1천여 명을 수용할 수 있고 맥주를 즐겨 마시는 독일 사람들의 일상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장을 보거나 산책하러 온 사람들이 푸른 하늘과 초록빛 나무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담소를 나눈다. 일체의 건축시설물이 없다. 자연과 함께 쉴 수 있도록 한 것이 많은 사람들을 이곳으로 오게 했다고 한다. 빅투알리엔 시장이 거래 장소의 역할은 물론 사회적 만남의 장소 역할까지 한 결과로 보인다. 즉, 사람들을 소통하게 하고 그들의 삶을 풍성하게 만드는 사회적 기능을 많이 수행한 덕분이다. 이야말로 빅투알리엔 시장의 특징이고 다른 시장들과의 차별화 요인이며 시장 활성화 성공 요인이라 하겠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정원사의 날, 아스파라거스의 날 등의 행사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재미까지 준다는 점, 가게주인이 바뀌어도 품목이 바뀌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대부분 점포들이 대물림하여 운영되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뿐만 아니다. 점포 임대료가 매출액의 3.5%로 고정되어 있다는 점도 이 시장의 특징이다. 뮌헨시 당국에서 점포 임대료를 매출이 많은 상인은 많이 내고, 적은 상인은 적게 내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다. 빅투알리엔 시장이 200년이나 유지된 것은 이처럼 상인들이 임대료 걱정 없이 영업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한 당국의 배려 때문인 것 같다. 또한 뮌헨시 당국이 시 공식 홈페이지 쇼핑 카테고리를 통해 시장의 역사, 영업시간, 교통편, 취급상품 등을 알아 볼 수 있도록 했고, 외국인을 위해 독일어, 영어, 불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중국어, 아랍어로도 표기해 놓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시장에 대해 '불편하고 낙후된 장터' '개발이 필요한 곳'으로 부정적 인식을 하는 데 반해 이곳은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이 즐기고 특색과 멋이 있는 장소로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 같다.
아무튼 빅투알리엔 시장은 시장 본래의 거래 기능과 지역주민들의 쉼터 기능을 잘 해냄으로써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시장인 동시에 신선한 관광지라 하겠다. 무엇보다 이곳 상인들이 자신의 이익보다는 시장의 전통과 문화를 더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우리 대구에서도 빅투알리엔 시장처럼 지역민과 세계인의 사랑을 듬뿍 받는 시장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