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3일 '문화역서울 284(옛 서울역사)'에서 열린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 격려사를 통해"남과 북이 독립운동의 역사를 함께 공유하게 된다면 서로의 마음도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4월 27일 저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3·1 운동 100주년 남북 공동 기념사업 추진을 논의했고 판문점 선언에 그 취지를 담았다"며 "추진위원회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할 수 있는 사업을 구상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임시정부가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와 함께 민주공화국을 국체로 선언한 것은 그 시기를 생각해보면 참으로 놀라운 일"이라며 "3.1운동은 민족의 자주독립과 평화, 민주와 인권의 가치를 외친 선언이자 실천이었고 여기서 분출된 민족의 역량은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고 했다.
또 "왕정과 식민지를 뛰어넘어 민주공화국을 탄생시킨 선조들의 고귀한 정신은 100년 동안 잠들지 않았다"며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일이 정의롭고 공정한 나라의 토대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이상룡 선생 본가 복원에도 착수하고, 러시아에서 최재형 선생을 기리는 기념관도 개관할 것"이라며 "애국지사와 독립유공자 후손께 국가의 도리를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이날부터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
위원회는 국무총리와 한완상 전 통일·교육부총리가 공동위원장을 맡았으며 모두 100명 이내 민간과 정부 위원 등으로 구성된다. 1차 위촉된 민간위원 68명에는 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주영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박유철 광복회 회장,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 차범근 차범근축구교실이사장 등 각계각층 인사가 고루 포함됐다. 특히 여성 위원이 35명(51.4%)으로 정부 위원회 중 처음으로 위원 절반 이상이 여성으로 구성됐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