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폼페이오 "비핵화시간표 많이 논의"…미사일 시험장 폐기 첫단추

"구체적 시간표 짜려면 여전히 많은 일 남아 있어"…진통 예고
"관계 개선·체제 보장·비핵화 '동시 노력' 필요…제재는 별도"

강경화 외교장관(오른쪽)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가운데),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이 8일 도쿄 외무성 이쿠라(飯倉)공관에서 회담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장관(오른쪽)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가운데),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이 8일 도쿄 외무성 이쿠라(飯倉)공관에서 회담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6·12 북미정상회담 후속조치 논의를 위한 지난 6∼7일 '평양 회담'에서 비핵화 시간표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8일 일본 도쿄에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한 뒤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비핵화 시간표에 대한 진전이 어느 정도 이뤄졌느냐'는 질문에 "시간표와 관련해 우리(북미)는 대화에서 많은 시간 이야기를 나눴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여러 가지 일들이 이뤄지기 위한 정확한 시간표가 어떻게 짜일지를 정립하려면 여전히 많은 일이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비핵화 시간표가 이번 협상의 주요 의제였음이 확인됐다.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으로 볼 때 미국이 일정한 시간표를 제시했으나 북한과의 이견을 제대로 좁히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핵 등 대량파괴무기(WMD)+탄도 미사일의 1년내 폐기' 시간표를 공개적으로 꺼냈지만 국무부는 "우리는 시간표를 내놓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북미 양국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 동창리 미사일 엔진실험장 폐쇄 방법 등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급 회의을 조만간 개최하기로 했다.

또 폼페이오 장관은 또한 북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합의된 북미 간 새로운 관계 수립, 체제 안전 보장, 비핵화 등 3가지 사항에 대한 '동시 추진' 입장을 밝히면서도 "경제적 제외는 예외"라고 못 박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