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01}]
조선시대 성리학 사상의 본거지인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지방의 사림이 설립한 사설 교육기관으로 지성과 교양의 요람이었다. 이 때문에 서원들은 선비들이 수양하고, 공부하기 좋은 자연적 환경에 자리 잡았다. 게다가 서원은 건축 과정에 문중과 후학들의 정치 철학과 사상을 담아내고 있어 건축물 자체로도 저마다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병산서원도 완만한 화산을 등지고 앞의 낙동강과 절벽 병산 사이에 자리해 강학과 수양에 좋은 곳곳이다. 절묘한 경치뿐만 아니라 지형의 높낮이를 이용한 뛰어난 건축물로도 유명하다.
◆병산서원, 설득과 통합의 리더십 보인 서애 배향
병산서원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1542∼1607)과 그의 셋째아들 수암(修巖) 류진(柳袗·1582∼1635)을 배향하고 있다.
선조 5년(1572) 서애가 지금의 장소로 옮겼다. 서애 문중의 강학을 위한 공간이었던 이곳을 광해군 6년(1614) 유림들이 서애의 업적과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존덕사'(尊德祀)를 지으면서 서원으로 제대로 된 위상으로 자리 잡았다.
병산서원은 철종 14년(1863)에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훼철(毁撤)되지 않은 전국의 서원 47곳 가운데 하나로도 유명하다.
서애 류성룡은 학봉 김성일과 함께 퇴계 이황의 제자다. 퇴계가 '하늘이 내린 인재이니 반드시 큰 인물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던 것처럼 서애는 임진왜란을 극복한 명재상으로 이름을 남겼다.
임진왜란 때 영의정에 오른 서애는 대동법 모태인 '작미법'(作米法)을 시행했고, 속오군을 만들어 양반들에게도 병역의무를 지웠으며, 천민들도 종군을 조건으로 면천해주고 공을 세우면 벼슬까지 줬다. 또, 이순신 장군과 권율 장군을 발탁해 후원했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압록강을 건너 요동으로 몸을 피하려고 하자 서애는 "임금의 수레가 우리 땅을 한 발자국이라도 벗어나면 조선은 우리 것이 아니다"라며 강력하게 제지하면서 국란 타개책을 세웠다. 설득과 통합의 리더였던 서애는 임진왜란의 원인과 전황을 기록한 '징비록'(懲毖錄)을 남겼다.
◆만대루, 자연을 그대로 정원으로 빌려다 쓴 '借景'(차경)
병산서원은 지금 건축학도들 사이에서 '꼭 찾아봐야 할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 서원 건축의 백미(白眉)'로 불리는 병산서원은 풍수학의 배산임수와 자연과의 조화, 수천 년을 꼿꼿이 서 있을 정도의 전통 건축방법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보기 드문 옛 건축물이다.
'차경'(借景), 자연의 경치 그 자체를 빌려 건축물의 하나로, 또는 정원으로 쓰고 있다는 표현이다. 병산서원이 그렇다. 꽃봉오리 같은 화산을 '후원'(後園)으로, 절벽같이 펼쳐진 병산과 모래밭을 감고 흐르는 낙동강을 '정원'(庭園)으로 삼아 한 폭의 풍경화를 연출한다.
'나의문화유산답사기'에서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는 "병산서원은 주변의 경관을 배경으로 해 자리 잡은 것이 아니라, 이 빼어난 강산의 경관을 적극적으로 끌어안으며 배치했다는 점에서 건축적, 원림적 사고의 탁월성을 보여준다"고 했다.
그는 "병산서원이 낙동강 백사장과 병산을 마주하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곧 병산서원의 정원이 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이를 건축적으로 끌어들이는 건축적 장치를 해야 이 자연공간이 건축공간으로 전환되는 것인데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이 만대루"라 평가했다.
2층 누마루인 '만대루'(晩對樓)는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해 지었으며, 긴장된 수양생활의 피로를 풀기 위한 휴식과 강학의 복합공간이다. 만대루는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 '백제성루'(白帝城樓)의 한 구절인 '취병의만대 백곡회심유'(翠屛宜晩對 白谷會深遊)에서 따왔다. "푸른 병풍처럼 둘러쳐진 산수는 늦을 녘 마주 대할 만하고, 흰 바위 골짜기는 여럿 모여 그윽이 즐기기 좋구나"라는 뜻이다.
만대루의 아름다움은 건물의 위용보다는 자연스러움에 있다. 인공의 냄새를 전혀 풍기지 않는다. 건축물이 인공 구조물이라는 인상을 지우려 한 의도가 엿보이는, '자연 닮기'의 옛 건축물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건축학도들이 우리 옛 건축을 공부하기 위해 가장 많이 병산서원을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
200여 명이 앉을 수 있다는 너른 만대루는 벽과 문, 창이 없어 텅 비어 있는 느낌이다. 대신 8개 기둥으로 만들어진 7칸의 공간은 사시사철 변하는 7폭 병풍을 보여준다. 병산의 푸른 절벽과 노송, 굽이치는 낙동강과 백사장이 한눈에 들어온다.
유생들은 만대루에 앉아 시회를 열며 담소를 나눴고, 강물과 병산을 바라보면서 심신을 수양했을 것이다. 천장도 휘어진 통나무 대들보를 그대로 살려냈다. 수백 년 묵은 세월이 그대로 느껴진다. 자연과 하나 되려는 성리학자의 높은 안목과 미의식이 고스란히 배어 있다.
◆자연의 일부처럼 인공의 흔적 지운 서원 건축물
서원의 정문인 '복례문'(復禮門)은 '자신을 극복하고 예로 돌아가라'는 논어의 '극기복례'(克己復禮)에서 따온 말이다. 솟을삼문 앞에 서면 시선이 만대루를 거쳐 입교당(立敎堂)까지 연결된다.
대문에 들어서면 왼쪽으로 만대루와 복례문 사이에 물길을 끌어들여 만든 '광영지'(光影池)가 눈길을 끈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땅을 의미하는 네모진 연못 가운데, 하늘을 상징하는 둥근 섬'을 둔 '천원지방'(天圓地方) 형태의 연못이다.
마당에 들어서면 맞은편에 강당 건물인 입교당이 눈에 들어온다. 1.8m의 기단 위에 놓인 입교당 마루에 앉으면 만대루를 통해 낙동강과 병산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스승과 제자 간에 가르치고 배우는 소통의 공간인 입교당은 전형적인 5칸의 강당 구성으로 가장 크고 견실한 건물이다. 3칸의 대청으로 된 강학당과 양쪽에 온돌방을 배치했다.
툇마루가 마련된 동쪽의 '명성재'(明誠齋)에는 서원의 원장이 기거했으며, 서쪽의 '경의재'(敬義齋)는 부원장이나 교수들이 머물렀다. 강학당은 유생들이 한 달 동안 자습한 내용을 구술로 시험 보는 강회를 위한 장소로 사용됐다.
병산서원은 입교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재(東齋)와 서재(書齋)를 배치했다. 상급생 기숙사인 동재는 '거동을 바르게 하라'는 뜻을 담은 '동직재'(動直齋)다. 동재와 마주 보는 서재는 동재와 규모는 같으나 작은방에 책을 보관하는 방이라는 '장서실' 현판이 걸려 있다.
동재의 주춧돌은 기둥의 크기에 맞게 사용한 것이 아니다. 어떤 것은 기둥보다 큰 주춧돌을 놓았고, 기둥을 일부러 주춧돌의 한쪽 귀퉁이에 세우기도 했다. 자연의 일부처럼 보이도록 인공의 흔적을 지운 느낌이다.
◆ 담장 아래 '청렴결백한 선비 상징' 백일홍 심어
입교당과 동재 사이를 돌아 들어가면 서애와 수암의 위패가 모셔진 존덕사가 나타난다. 존덕사 왼쪽 아래에는 책을 찍는 목판을 보관하던 '장판각'(藏板閣)이, 오른쪽 아래에는 사당에 올릴 제수를 준비하던 '전사청'(典祀廳)이 들어서 있다.
입교당에서 보면 후면 왼쪽으로 비켜서 있는 장판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습기를 피하려고 정면에 모두 판문(板門)을 달았다. 전사청으로 들어가는 판문과 계단식으로 경사진 담장 아래로 청렴결백한 선비를 상징하는 백일홍을 심었다. 조경은 단순한 나무 심기에 그치지 않고 최종적으로 건축을 완성한다는 우리 옛 건축의 일면을 보여준다.
전사청 아래쪽에 있는 '주소'(廚所)는 안동지방 특유의 뜰 집 형태인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 형태의 살림집이다. 평소에 서원의 관리인이 거주했고, 봄·가을 향사(享祀) 때는 참석자들을 위한 숙소로 이용됐다. 거주인의 낮은 신분 때문에 서원의 담 밖에 배치했는데, '고직사'(庫直舍)라고도 부른다.
주사 앞 '달팽이 뒷간'은 유생들의 뒷바라지를 하던 일꾼들이 사용하던 화장실이다. 진흙 돌담의 시작 부분이 끝 부분에 가리도록 둥글게 감아 세워 놓았고, 출입문은 물론 지붕도 따로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