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철우 도지사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축소 검토

이의근·김관용 전 경상북도지사가 국내·외를 오가며 역점을 둬 추진했던 경주세계문화엑스포가 앞으로는 규모와 예산, 조직이 대폭 축소된 국내 행사로 치러질 전망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0일 "지금까지 경주엑스포를 개최하는 데 2천억원이 들었다. 해외에서 열었던 경우 300억원가량이 든다. 하지만 투자한 만큼 경북 홍보 등 효과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라며 "행사 규모와 예산, 조직 등을 간소화해 국내 행사로 하는 게 맞는 지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998년 경주에서 처음 열린 경주세계문화엑스포는 지금까지 총 9차례 열렸다. 특히 경북도는 2006년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2013년 터키 이스탄불, 2017년 베트남 호찌민 등 해외 행사로 진행해 경북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활용했다.

하지만 현지에서 진행되는 대규모 문화행사인 만큼 막대한 비용이 들어 일회성 행사에 투입한 예산에 비해 효과가 약하다는 비판이 늘 뒤 따랐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 호찌민에서 열린 엑스포 행사에는 국비 28억원, 도비 26억원, 시비 26억원, (재)문화엑스포 20억원 등 총 100억원이 투입됐다. 도 관계자는 "이 비용은 행사 자체에 투입된 예산으로 엑스포와 관련된 부대행사 등에 투입된 예산은 훨씬 많아 수백억원에 달하는 게 사실"이라고 했다.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개최 등 업무를 전담하는 도 산하기관 (재)문화엑스포 역시 축소 혹은 해체될 전망이다. 이 도지사가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경북문화관광공사'가 설립되면 통·폐합될 산하기관으로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1996년 설립된 (재)문화엑스포는 2실 7부에 총 21명이 일하고 있으며 한해 231억원가량의 예산으로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 한 공무원은 "전임 두 명의 도지사 시절 가장 큰 문화행사로 추진했던 게 경주세계문화엑스포이지만, 해외 개최 효과에 대해 의문을 품었던 직원도 많았다"면서 "이 행사에 들어가는 예산을 줄여 일자리 창출, 저출산 문제 해결 등 다른 사업에 활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