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국내 가동 원자력발전소 대부분이 밀집해있는 동해안에 원전해체연구소(원해연)를 두겠다는 입장을 처음으로 밝혔다.
10일 오후 청와대를 방문한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청와대 고위 관계자와 면담한 뒤 이 같은 입장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로써 원해연은 국내 가동 원전의 절반이 몰려 있는 데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본사가 자리한 경북 동해안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경북도는 지난 수년 동안 국가 에너지 안보를 위해 희생해 온 경북 동해안에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원해연 등 중앙 정부 차원의 배려가 필요하다는 요구를 해왔다.
이 도지사에 따르면 청와대는 월성1호기 조기 폐쇄 결정, 영덕 천지 1·2호기 건설 중단, 울진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 등 탈원전 조치에 따른 주민들의 혼란을 잘 알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상책도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미 영덕에 지원된 380억원의 유치지원금을 중앙정부에 반환하지 않는 방안도 정부가 고려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이 도지사는 설명했다.
원전 1기당 약 6천억원 이상의 해체 비용이 소요되는 등 원해연을 유치할 경우 엄청난 부가가치가 창출돼 그동안 경북을 비롯해 부산, 울산 등의 지방자치단체가 원해연 유치운동을 펴왔다.
이 도지사는 또 청와대가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연계돼 새로운 북방경제의 동맥이 될 한반도종단철도(TKR)인 동해중부선을 복선전철화하는 사업도 확약했다고 전했다.
단선비전철로 개통된 포항~영덕 구간을 복선전철로, 단선비전철로 공사 중인 영덕~삼척 구간도 조기완공하는 한편, 복선전철로 바꾸는 안을 실현시키겠다는 것이 청와대의 계획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청와대는 예산사업인 만큼 시간은 다소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고 이 도지사는 부연했다. 또 동해안고속도로 영덕~삼척 구간도 조기에 착공해달라는 경북도의 건의도 받아들였다고 이 도지사는 말했다.
경북도는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경협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오는 11월 제1회 한러 지방협력 포럼을 포항에서 개최하는 것도 계획 중이다. 이 행사에 대한 청와대 차원의 지원도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약속했다고 이 도지사는 언급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공모사업으로 농업 생산과 유통·교육·창업 기능을 한곳에 집약시키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은 사업비가 1천500억원에 이른다. 이를 상주에 유치하는 안도 긍정적 답을 얻었다"고 밝혔다.
◇이철우 지사-청와대 고위관계자 협의사항
▷원자력해체연구소 동해안 입지
▷한반도종단철도(TKR) 동해중부선 복선전철화
▷동해안고속도로 영덕~삼척 구간 조기 착공
▷스마트팜 혁신밸리 상주 유치
▷제1회 한러 지방협력 포럼 포항 개최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