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취수원 이전]대구시·구미시·경북도 입장은?

취수원이전 두고 대구시, 구미시, 경상북도의 동상이몽 해결이 급선무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를 둘러싸고 대구시와 구미시가 서로 다른 해법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경북도는 광역수계 물관리의 책임을 진 중앙정부가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구미 해평취수장 전경. 구미시 제공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를 둘러싸고 대구시와 구미시가 서로 다른 해법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경북도는 광역수계 물관리의 책임을 진 중앙정부가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구미 해평취수장 전경. 구미시 제공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는 대구시는 물론 구미시와 경상북도의 해묵은 현안이다. 세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을 들어봤다.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를 둘러싼 대구시와 구미시의 갈등을 해결하려면 광역수계 물관리를 책임진 중앙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구미 해평취수장 전경. 구미시 제공

◆대구시 "과학적 검증 통해 문제 발생하면 다른 대안 모색"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에 대한 세 가지 원칙을 세웠다. ▷대구시민과 구미시민 간 상호 이해와 배려 ▷구미시가 우려하는 상수원보호구역 확장, 수질·수량 문제에 대해 철저한 과학적 검증 ▷과학적 검증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대안 모색 등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11일 민선 7기 시정운영 구상을 밝히는 기자 간담회에서 "취수원 이전은 대구시민과 구미시민 간 상호 이해와 배려가 원칙이 돼야 한다"며 "또한 구미공단 상류지역의 해평취수장을 공동 사용하는 방안과 관련해 구미시민들이 우려하는 상수원보호구역 확장, 수질·수량 문제에 대해 철저한 과학적 검증을 거치겠다. 만약 검증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다른 대안을 찾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시는 25일 인사를 단행하고 '취수원 이전 추진단'을 발족했다.

◆구미시 "낙동강 전체 수계 유해화학물질 차단이 우선"

구미시는 위험하고도 불가능한 대구취수원 이전보다는 폐수 무단방류시스템 구축으로 구미국가산단에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산단에서 발생하는 미량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근본적인 차단을 위해서는 폐수 무단방류시스템 구축과 수질오염기업 삼진아웃제 시행, 경북도 및 구미시의 산업단지 관리 인원 확충(현재 5명) 등을 통해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해야 한다"며 "구미 상류에는 김천산단을 비롯 4천830여 개의 기업체가 있고, 낙동강 아황산가스와 각종 중금속 오염 주범인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등이 있기 때문에 대구취수원 이전이 해결책은 아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강변여과수 활용과 식수전용저수지 등 자체 식수 공급 방안을 마련하고, 영천댐·가창댐·운문댐 등을 활용한 취수·비상급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를 둘러싼 대구시와 구미시의 갈등을 해결하려면 광역수계 물관리를 책임진 중앙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구미 해평취수장 전경. 구미시 제공

◆경북도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중재로 실마리 풀어야"

경북도는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을 둘러싼 갈등 해소를 위해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양 도시의 조정자 역할을 해야 실마리가 풀릴 것이라는 주문인 것.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9년째 표류 중인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의 본질은 수질 개선에 있고, 낙동강과 같은 광역수계 물관리는 중앙정부 소관"이라며 "정부는 구미산단 폐수방류 시스템 지원 등 하천 오염원 차단에 힘쓰고, 수질개선 대책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대구시는 구미 시민을 설득할 합리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제한 뒤 "경북도는 대구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당사자인 대구-구미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적극적으로 중재하겠다"고 약속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