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재건축·재개발, 외지업체 독식>2017년 이후 3조원대 대구 재건축·재개발 시장 외지업체 싹쓸이

유례없는 분양 열기로 대구 아파트 재건축ㆍ재개발 사업이 줄을 잇는 가운데 정작 사업 수주는 외지 중대형 건설사가 독식하고 있다. 브레이크 없는 외지 업체 독식 현상이 심화하면서 지역 주택건설업계와 지방정부의 대책 마련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매일신문이 2017년 이후 대구 아파트 재건축ㆍ재개발 단지 시공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년 7개월여간 13개 단지 1만6천131가구, 3조738억원 어치 공사 수주를 외지 건설업체가 싹쓸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7월 현재 재건축ㆍ재개발 공사 수주액은 7개 단지(9천817가구), 1조8천837억원으로 지난 한 해 6개 단지(6천314가구), 1조1천901억원과 비교해 58.3%나 급증했다.

이는 대구 분양 시장이 전국 최고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흥행 대박을 터뜨리면서 지역 재건축ㆍ재개발 사업이 과열 양상으로 번진 결과다.  

하반기에도 수성구 범어동 경남타운 재건축 등 7개 단지 시공사 선정이 잇따르면서 대구는 메이저 건설사간 최대 격전지로 달아오르고 있다. 

외지 업체의 과열 경쟁에 정작 토종 건설사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화성, 서한 등 지역 건설업체 관계자들은 "메이저 건설사의 무차별 홍보, 판촉 활동 공세에 상대적으로 브랜드 파워나 자본에서 밀리는 토종 건설사들은 아예 수주 경쟁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라고 참담해했다.

외지업체 독식이 심화하면서 지역 재건축ㆍ재개발 시장에서 창출되는 천문학적 건설자본이 역외로 유출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10억원 이상 관급, 민간 공사 가운데 외지업체의 지역 하도급 비율은 지난 수년간 40% 안팎에 불과하다. 외지업체의 지역 하도급 비율이 제자리걸음을 한다면 2017년 이후 현재까지 지역 재건축ㆍ재개발 총공사수주액 3조원 가운데 60%(1조8천억원)안팎이 지역에서 외지로 빠져나간다는 의미다.

조종수 대한건설협회 대구시회 회장은 "지방선거 이후 민선 7기 출범에 맞춰 더 늦기 전에 지역 주택건설업계와 경제단체, 대구시가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찾아야 할 때"라며 "메이저 브랜드 건설사의 재건축·재개발 사업 독식이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 하더라도 지역 기업과 상생하고, 지역에 더 많은 돈이 돌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