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가물자, 지붕 배수구 물받이에 새가 짓는 집/여기저기 지푸라기 물어다가 울긋불긋/꽃 울타리도 만든다/…중략…/내가 너의 눈을 닮아가니/너도 내 눈을 닮아갔다'
시집의 타이틀이 된 '오목눈이집증후군'이란 시다.
현실이란 땅에서 발을 떼지 못하면서 눈은 항상 비현실적인 이상의 세계로 향하는 것은 호모사피엔스의 운명일지도 모른다. 시인은 현실과 그 너머의 세계를 끊임없이 넘나든다. 시어를 매개로 한 자유로운 의식의 공간이동은 시인의 특권이다. 그러나 현실초월은 가장 가까운 인간관계부터 갈등과 아픔을 동반한다. 박윤재 시인이 추구하는 서정시의 외양에 긴장감이 감도는 것은 이 때문이다. '녹을 날 기다려 몰래몰래 건네는 물 한 모금' '그녀 얼마만치 떠오를까' 등의 사건들이 의외의 결별을 겪는 것도 서정적 심상의 전이와 확산이다. 강원도 평창 출신으로 1989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 '겨울판화'로 등단했다. 124쪽, 1만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