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비중이 지난해 처음으로 14%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 진입이 확정됐다. 통계청의 ‘2017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방식 집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인구 5천142만 명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11만5천 명(14.2%)이었다.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7%)로 들어선 지 17년 만의 일로 우리 사회가 유례없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음을 통계로 입증한 셈이다.
문제는 우리의 고령화 속도가 비교 대상을 찾기 힘들 만큼 빠른 편이라는 점이다. 일본은 197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이후 1994년 고령사회, 2010년 초고령사회가 됐다. 초고령사회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이 20%가 넘는 경우를 말한다. 우리의 고령화 속도가 일본보다 더 빠르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한다.
반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사상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인구 구조의 불균형이 더 깊어졌다는 의미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는 3천619만6천 명으로 전년 대비 11만6천 명(0.3%)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229개 시·군·구 중 167개(72.9%)에서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했다. 일하는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경제 활력이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음을 말한다. 이대로라면 고령 인구 중심의 사회가 노출하는 갖가지 사회·경제적 부작용이 우리 눈앞의 현실이 되는 셈이다.
심각한 저출산 문제와 인구 고령화는 국가 존립이 걸린 중대한 현안이다. 전남(22%), 경북(19%) 등 일부 지역의 65세 이상 비율은 이미 20%를 넘어섰거나 앞두고 있다. 노령화지수가 647.5로 전국 최고인 군위군, 의성군 등 상당수 농촌 지역은 이른바 ‘소멸 위기 단계’에 근접해 있다. 정부는 지금부터라도 맞춤형 정책을 세워 초고령사회에 대비해야 한다. 아기 울음소리가 끊긴 지 오래인 심각한 현실을 피부로 느끼지 못한다면 지방 소멸 나아가 국가 소멸은 시간문제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