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 '연쇄 화재' BMW코리아 압수수색…강제수사 착수

고소장 접수 21일 만에…EGR 관련 서류 확보 주력

잇단 차량 화재 사고가 발생한 수입차 브랜드 BMW의 결함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수사관들이 31일 새벽 서울 중구 BMW코리아에서 압수수색 한 물품을 차량으로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잇단 차량 화재 사고가 발생한 수입차 브랜드 BMW의 결함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수사관들이 31일 새벽 서울 중구 BMW코리아에서 압수수색 한 물품을 차량으로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잇단 차량 화재 사고가 발생한 수입차 브랜드 BMW의 결함 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경찰이 이 회사 한국지사를 압수수색하며 본격적인 강제 수사에 돌입했다.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30일 수사관 30명을 투입해 서울 중구에 있는 BMW코리아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압수수색에서 사건 관련 증거자료를 확보하는 한편 엄정한 수사로 사실관계를 밝히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압수수색에서 잇단 차량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된 EGR(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관련 서류와 내부 회의 자료 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번 압수수색은 이달 9일 불이 난 BMW 차 주인 이광덕 씨 등이 고소장을 낸 지 21일 만에 이뤄졌다.

경찰은 그간 국토교통부 등 관련 기관의 협조를 얻어 BMW 관련 문건을 확보해 검토 작업을 해왔으나 강제 수단을 동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BMW는 차량이 잇달아 불타는 사고가 발생하자 '2016년부터 유럽에서 비슷한 엔진 사고가 있어 최근까지 원인 규명을 위한 실험을 해왔는데 최근에야 EGR 결함이라는 결론을 냈다'고 국토부에 설명했다.

그러나 국토부는 화재 때문에 비난 여론이 비등한 시점에 마침 BMW가 원인 규명 실험을 끝냈다는 설명이 석연치 않다고 보고 '늑장 리콜' 여부를 조사 중이다.

이에 이광덕 씨를 비롯한 'BMW 피해자 모임' 회원 41명은 2차례에 걸쳐 BMW코리아, BMW 독일 본사와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 하랄트 크뤼거 본사 회장 등 관계자 9명을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