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첨단의료재단)이 인력 유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구의 핵심인 책임급뿐만 아니라 전체 직원들의 퇴직률은 높다. 이 같은 현상의 배경으로 상대적으로 열악한 처우와 연구에 집중할 수 없는 분위기, 미흡한 정주 여건, 분산된 중앙부처의 연구 지원 등 여러 구조적인 요인이 지목되고 있다.
무엇보다 처우에 대한 불만이 많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첨단의료재단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이 2013년 5천748만원에서 이듬해 5천206만원으로 줄었다. 이후에도 감소가 이어져 2017년에는 5천18만원을 기록했다. 덩달아 평균 근속연수도 2013~2017년에 1.7~2.9년 사이를 오갈 정도로 짧다.
행정 위주의 조직 분위기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사무 행정을 맡은 부서가 연구인력을 지원하기보다는 각종 문서와 증빙자료를 요구하는 등 연구에만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지난 6월 선임된 신임 이사장도 보건복지부 출신이어서, 첨단의료재단이 연구개발이 아니라 행정 중심의 조직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 연구원은 "연구성과를 내기 위해 외국 연구진과 공동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필요한 연구비 등 각종 행정절차와 서류를 지나치게 까다롭게 요구한다"며 "경영 업무를 맡은 행정직원이 인사와 예산을 총괄하기 때문에 정작 첨단의료재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연구원들의 목소리는 약한 편이다"고 말했다.
연구개발 지원을 담당하는 정부 부처가 나뉜 점도 첨단의료재단에 대한 효율적 지원과 관리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첨단의료재단의 주무부서는 보건복지부지만, 신약개발지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첨단의료기기 개발지원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각각 맡고 있다. 이로 인해 첨단의료재단의 효율적인 운영과 각종 정부 지원자금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비정규직 문제 등 조직 내 융합이 이뤄지지 않는 것도 첨단의료재단 활성화가 어려운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올해 2분기 기준으로 첨단의료재단의 기간제 비정규직 인원은 83명이다. 정규직 3분의 1 규모가 비정규직 신분이다. 이외 용역직원도 38명이나 된다. 다른 공공기관과 달리 이들에 대한 정규직 전환 계획은 없는 상태다.
첨단의료재단 관계자는 "수도권과 비교해 정주 여건이 미흡한 상황에서 처우가 상대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탓에 퇴직률이 20% 수준으로 높다"며 "조만간 조직개편 작업을 마무리하고 필요한 인력을 채용해 연구 공백을 최소화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