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도심 동쪽 황용동에 있는 황용사(黃龍寺)의 내부 절터에서 금속판 일부를 도려내는 투조(透彫) 기법으로 만든 통일신라시대 금동귀면(金銅鬼面)이 출토됐다.
4일 불교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문화재청과 함께 진행하는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 사업'의 하나로 경주 황용사터에서 지난 7월 시굴조사를 한 결과, 탑 주변에서 국내 최초로 금동귀면을 찾았다.
금동귀면은 높이가 15㎝로 성인 손바닥에 딱 들어가는 크기다. 입에는 고리가 달렸으며, 입체감이 돋보이는 점이 특징이다.
최인창 불교문화재연구소 팀장은 "국내에 유사한 사례가 없어 지금은 용도를 알 수 없다. 장식품일 수도 있고, 고리에 무언가를 걸었을 수도 있다"며 "8∼9세기쯤 제작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밖에 절터에서는 석불, 소조불, 용두 조각, 하대석 조각, 명문기와도 나왔다.
이에 대해 연구소는 불국사의 말사였던 황용사 위상이 높았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유물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조성한 건물지 유적 5동과 탑터, 축대, 돌을 일렬로 쌓은 석렬도 확인됐다.
황용사는 경주 도심에 있는 구황동 황룡사(皇龍寺)와는 다른 절이다. 불국사고금역대기(佛國寺古今歷代記)에 따르면 선덕여왕 2년(633)에 황둔사(黃芚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됐고, 소성왕(재위 799∼800) 때 황용사로 사찰 명칭이 바꼈다. 중창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한자를 황용사(皇龍寺)로 쓰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