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강효상·김상훈 국회의원이 낙동강 수계 환경오염 논란의 중심에 선 영풍 석포제련소의 모기업 회장을 국정감사에 부를 모양이다. 1970년 공장을 돌린 이후 제련소에 대한 정치권의 이 같은 움직임은 처음이다. 전례가 없으니 초미의 관심사일 수밖에 없다. 대구경북민과 환경단체는 물론, 전국의 시선이 쏠릴 만하다.
사실 석포제련소 주변 드넓은 청정 임야와 자연환경은 황폐화되고 버려진 지 오래다. 만약 황무지나 다름없는 숲의 현장이 서울 남산이었다면 정부나 국민이 과연 수십 년 그냥 두었을까. 공장 주변 수풀은 생명체가 제대로 살기 힘들 정도의 죽음의 땅이 됐다. 제련소나 낙동강 주변 토양과 물의 오염 때문에 새와 물고기가 떼죽음으로 경고했지만 그대로 방치됐다.
제련소 40여 년 역사는 1조4천억원 매출 성장으로 이어졌으나, 주변 환경의 파괴라는 회복할 수 없는 재앙도 낳았다. 엄청난 매출로 기업주와 이해 당사자들이 현실적인 혜택을 누릴 때 미래의 자연과 환경은 망가졌다. 지금도 낙동강을 삶터로 하는 뭇 생명체는 죽음의 늪을 헤매고, 1천300만 영남인 역시 불안에 떨고 있다.
뜻 있는 지역민과 환경단체 등이 제련소 폐쇄를 외치고 행동에 나선 까닭은 이런 배경에서다. 이는 제련소와 영풍 모기업이 그동안 보인 실망스러운 행태의 결과물이다. 물론 48년 만에 올해 처음으로 공장 제한 공개 같은 조치를 했지만 추락한 국민적 신뢰는 회복 불능이었다. 성장 열매만 따 먹은 회사가 자초한 업보나 다름없다. 이를 감시하지 못한 당국도 자유롭지 못하다.
두 의원과 정치권 할 일은 분명하다. 국정감사로 제련소의 환경오염 논란을 따져 근본 대책을 세우는 첫발을 뗐으니 이제 이행만 남았다. 먼저 국정감사 대상에 제련소를 넣되, 기업 총수를 부르는 일로 흥정은 안 된다. 그리고 제련소에 대해 철저히 연구하고 분석해 따져야 한다. 그래야 감사다운 감사가 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