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중, 9·9절 계기 결속 재확인…시진핑 답방 지속 추진

北의 경제건설 집중 강조에 북한 대표단 파견 등 경협 가속 전망
소식통 "중국, 대북제재 피하려 접경지역서 경협 강화할 듯"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별대표인 리잔수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장이 9일 평양에서 열린 북한 정권수립 70주년 열병식을 참관하고 있다. 김 국무위원장은 이날 리 상무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별대표인 리잔수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장이 9일 평양에서 열린 북한 정권수립 70주년 열병식을 참관하고 있다. 김 국무위원장은 이날 리 상무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은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의 공동 인식을 견지하며 이를 위한 조처를 했다"며 "미국도 이에 상응하는 행동을 보이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함께 추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국무위원장은 "국제정세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나와 북한 당·정부는 북중 우의를 굳건히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북한과 중국이 북한 정권수립 70주년(9·9절)을 맞아 최고 수준의 결속을 재확인함에 따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연내 답방이 계속 추진될 전망이다.

또한, 북한 고위급이 이끄는 대규모 대표단도 조만간 방중해 경제협력을 본격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올해 세 차례 방중한 데 이어 시 주석의 특별대표로 리잔수(栗戰書)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장이 방북하면서 북중간 교류가 더욱 활성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0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지도부는 리 상무위원장의 9·9절 방북과 별도로 적당한 시기에 시 주석이 방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9·9절의 경우 북한 열병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력 등이 작용해 시 주석의 방북이 무산됐지만 시 주석의 평양행은 북중간에 여전히 유효한 카드라는 의미다.

베이징 소식통은 "시진핑 주석의 답방은 시기를 가늠할 수는 없지만 북중간에 여전히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북중간 고위급 교류에 대한 의지를 내비친 상황이라 시 주석의 방북은 어느 시점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처럼 시 주석의 향후 방북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 중국은 북한에 대북제재를 위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경제협력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리 상무위원장은 이번 방북기간 김정은 위원장을 비롯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만나 북중 우호를 강조하면서 북한이 경제강국 건설로 정책을 전환한 점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리 상무위원장은 한반도 비핵화 입장에 대한 원칙을 재차 강조하면서도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지가 확고하다고 밝혀 북한이 북핵 협상의 판을 깨지 않을 경우 중국이 북한의 경제재건을 적극적으로 돕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시 주석도 축전과 친서를 통해 북한이 경제발전과 민생개선에 주력하고 있다고 언급했고, 중국 내 9·9절 행사에 참석한 왕양(汪洋) 전국정치협상회의(전국정협) 주석도 북한이 경제에 집중하는 정책에 찬사를 보낸 바 있어 중국의 대북경협이 속도를 낼 것임을 시사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