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재현장] 통합 대구공항 이전, 느리지만 나아가고 있다

경북부 이현주 기자
경북부 이현주 기자

"통합 대구공항 이전, 과연 성사될까요?"

현재 K2(군공항)와 대구공항(민간공항)을 한데 묶어 대구시 외곽지로 이전하는 통합 대구공항 이전에 대해 대구경북민 상당수가 성사 여부에 의문점을 갖고 있다. 정부가 이전 계획을 발표하고 이전 후보지 선정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와 있는데도 이전 가능성에 대한 지역민들의 의구심은 여전하다.

그간 부산경남 지역의 가덕도신공항 추진 움직임이 계속된 데다 대구경북 내에서도 군공항만 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던 터라 이전 가능성에 대한 확신이 확 사그라든 탓이다. 여기다 문재인 정부 들어 대구경북을 홀대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박근혜 정부 때 결정한 사업을 그대로 이어갈지에 대한 우려도 크다.

하지만 우리는 국가의 시스템에 대해 너무 불신하는 경향이 있다. 통합 대구공항 이전과 김해신공항 건설의 별도 추진 등 2016년 5개 시도(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가 합의한 사안을 문재인 정부라고 해서 손바닥 뒤집듯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정부의 권위 및 공신력에 대한 최소한의 믿음이라도 있다면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의 추진 여부에 대한 우려는 접어둬도 좋을 것 같다.

실제 우리가 걱정하고 의심했던 바와는 달리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은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대구시는 올 3월 이전 후보지로 선정된 2곳(군위군 우보면,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에 대해 '이전 주변지역 지원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발주했고, 지난달 31일에는 국방부를 상대로 지원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

시 지원 방안에는 지원금액을 기본 3천억원(추후 변동 가능성 있음)으로 하되 소음피해 저감 사업과 편익시설 설치, 주민소득 증대 및 지역개발사업 등의 지원 사업이 담겼다. 추후 국방부는 대구시가 제시한 주변 지역 지원방안에 대해 검토한 뒤 시와 협의 절차를 거쳐 주민지원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현재 지원위원회 및 민관군협의체 구성을 추진 중이다. 또 올해 내 이전지역의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후에는 이전부지 선정 및 수립계획 공표, 이전지별 찬반투표 실시, 자치단체별 유치 신청, 이전부지 선정 등의 절차가 남아 있다.

그동안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은 2016년 국방부의 통합 대구공항 이전 건의 타당성 승인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지방선거로 인한 공항 관련 업무 중지 등으로 험난한 여정을 거쳐왔다.

하지만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공항 건설은 통상 10년, 15년은 바라보고 가야 할 사업이므로 우리가 먼저 포기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무엇보다 소모성 논쟁과 지역이기주의, 정치적 계산으로 우리 앞에 놓여 있는 경제적 기회를 걷어차 버리는 실수는 절대 범해서는 안 된다.

중요한 것은 대구경북은 갖은 시련에도 불구하고 통합 대구공항 이전을 위해 전진해왔다는 점이다.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아닌가. 포기하지 않고 느리더라도 뚝심 있게 나아가는 것이 지금 우리가 가져야 할 최선의 자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