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베 "일북관계 개선 김정은과 직접 해결해야 할 문제"… 이총리 "국제사회 지지 절실"

이낙연 국무총리가 11일 오전(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일 양자회담에 앞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11일 오전(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일 양자회담에 앞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일북 관계 개선 또는 정상화 의지가 있다"며 "그 문제는 나와 김정은이 직접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11일 밝혔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제4차 동방경제포럼'이 열린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와 면담하며 이같이 말했다.

아베 총리는 "납치 문제, 미사일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고 불행한 과거를 청산한 다음에 일북 관계를 정상화한다는 일본 기본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했다.

이어 "북한의 미래를 생각하면서 정책을 펼쳐나간다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생각에 공감한다"며 "북한은 풍부한 자원과 근면한 국민이 있기에 올바른 정책을 취한다면 북한의 미래는 밝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실현할 필요가 있다"며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미북 간의 가교역할을 추구하는 한국의 꾸준한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 계속해서 일·한, 일·한·미 3국 간에 긴밀히 공조해 나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일북 대화를 기대하며, 필요하다면 한국 정부가 측면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이 총리는 "일본과 북한의 관계개선을 이루려면 납치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점을 한국 정부가 북한에 계속 설명하고 있다"면서 "한국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이루는 데 미국, 일본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협력이 절실하다는 것을 한시도 잊은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한일 양국의 미래지향적 협력을 위해 ▷동북아 평화와 안정 ▷경제협력 활성화 ▷환경 등 글로벌 문제 공동대처 등 세 가지를 꼽았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답했다.

이 총리는 또 경제협의회 등 한일 간 협의 채널 재가동, 한일어업협상의 조기 타결, 사회보장협정 개정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아베 총리는 "어업협정은 실질적 논의가 조속 재개되길 기대한다. 경제고위급 채널 재가동은 신중히 검토하겠다. 사회보장협정 개정은 실무 차원에서 검토하겠다"고 각각 답했다.

이 총리는 위안부 문제 등 양국 간의 어려운 문제를 언급했고, 양측 모두 기존 입장을 설명한 뒤 지혜롭게 대처하기로 했다고 총리실 관계자가 전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11일 오전(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한-일본 양자회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회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11일 오전(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한-일본 양자회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회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