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표적 감사 논란 무색하게 만든 DGIST 비위 의혹, 참담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0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DGIST 이사회에 요구했다. 감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논란 속에 두 달 넘게 이뤄진 감사에서 드러난 일들은 충격적이다. 손상혁 총장의 직권을 남용한 재임용 부당 지시를 비롯해 정부가 공개한 내용은 기술원 운영과 관련한 비위 등 한두 가지가 아니다.

DGIST 감사는 지난 7월 3일부터였다. 정부는 구체적인 감사 일정이나 내용 등을 제대로 밝히지 않고 인권침해성 조사에다 깜깜이 감사로 숱한 논란을 빚었다. DGIST 전 구성원이 나서 처음으로 비상 총회를 열고 감사 부당성과 부적절성, 기술원의 자율성과 독립성 침해라며 반발했고, 지역민들도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그런데 발표처럼 감사 결과가 사실이라면 참담 그 자체다. DGIST 구성원은 물론, 대구경북민들의 자존감마저 무참히 허무는 일이나 다름없다. 구성원 권익 침해와 3천400만원의 연구비 부당 집행, 연구 결과 허위 보고, 근로자 편법 고용, 인건비의 연구비 부당 집행(19억7천만원) 등 뭇 비위와 문제가 지적됐으니 말이다.

지금 우리가 이번 감사 결과의 진실을 따져 밝히는 일은 산 넘어 산이고, 그럴 만한 권한과 지위도 갖고 있지 않다. 하지만 대구경북은 고급 인재를 키워 나라의 과학기술 발전에 보탬이 되고 지역의 미래를 향한 밑거름이 되도록 늘 아낌없는 응원과 애정 어린 관심을 쏟고 DGIST를 믿었다. 그러나 감사 결과에서 드러난 일들이 진실이면 이런 믿음은 모래성일 뿐이다.

감사 과정이야 어쨌건 이번 감사에 따른 후속 조치는 이제 DGIST 이사회 몫이다. 2004년 개원 이후 아마 최대 시련인 듯하다. 이사회는 이번 기회에 지난 세월을 거슬러 이런 지경에 이른 까닭부터 살피고, 기술원의 갈 길을 제대로 찾아야 한다. 기술원은 물론 대구경북의 앞날을 위해서라도 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