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계획대로 김해신공항 추진하는 데 정부는 전력 쏟아야

부산·울산·경남 단체장들이 김해신공항 실무검증단을 꾸리는 한편 국무총리실 산하에 동남권 신공항 검증위원회 구성을 요청하고 나섰다. 국토교통부가 김해신공항 확장을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확정했다고 밝힌 직후 이런 반응을 보였다. 정부의 김해신공항 확장 방침에 또 어깃장을 놓은 것이다. 김해신공항을 두고 부·울·경이 집요하게 딴죽을 거는 것은 가덕신공항을 추진하려는 노림수로 봐야 한다.

정부는 김해신공항 활주로를 애초 계획대로 ‘V자형’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달리 부·울·경은 ‘11자형’ 활주로를 고집하고 있다. 하지만 ‘11자형’ 활주로는 경제성과 효율성에서 문제가 많다. ‘11자형’ 활주로 건설 시 공사비가 ‘V자형’에 비해 적게는 6천860억원에서 많게는 2조3천278억원이 더 드는 반면 활주로 용량은 되레 떨어진다. 이를 잘 알 텐데도 부·울·경은 김해신공항 확장에 계속 발목을 잡고 있다. 김해신공항 흠집 내기 작전으로 가덕신공항으로 가려는 꼼수라는 의구심을 떨치기 어렵다.

김해신공항 확장은 정부가 추진하는 국책사업이다. 과학적 검증과 연구를 거쳐 결정된 최선의 사업을 놓고 부·울·경이 끝 간 데 없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오만함의 극치다. 부·울·경이 현 정권 배출 지역이라는 생각을 하고 국책사업을 뒤집으려 하는 것이라면 매우 잘못됐다. 태풍으로 전면 폐쇄된 일본 간사이공항에서 보듯 해상공항은 천재지변에 취약하다는 점도 살펴야 한다.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부의 일관성 있는 자세다. 신공항 정책에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흔들리는 정부의 행태에 비판이 적지 않다.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반대한다고 해서 정책이 휘둘린다면 국정 운영은 불가능하다. 이런 까닭에 총리실에 동남권 신공항 검증위원회 설치는 말이 안 된다. 국가 경쟁력, 국토균형발전 차원에서 김해신공항 확장을 계획대로 추진하는 게 정부가 해야 할 일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