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전체 예산 가운데 교육 분야에 투입하는 예산이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교육도시'란 말이 무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지방자치단체 교육투자 현황'에 따르면 대구의 교육투자율(전체 예산 대비 교육 분야 투입 예산 비율)은 0.12%에 불과했다. 대구시는 지난해 총예산액 9조5천억원 가운데 교육 분야에는 112억원밖에 사용하지 않은 셈이다.
이 같은 비율은 전국 평균 0.44%에도 못 미치는 한편 17개 시도 가운데 12번째로 낮은 수치였다.
경북도도 상황은 비슷해 교육투자율은 0.27%로 대구시보다 약간 높았으나, 전국 평균과는 두 배 가까이 차이 났고 전국 7위 수준에 머물렀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예산(49조원)의 1.07%(5천235억원)를 교육 분야에 투자해 예산대비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서울 0.74%(2천706억원), 대전 0.67%(380억원)로 뒤를 이었다.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투자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11조 제8항에 따라 지자체가 학교에 지원하는 경비로 ▷학교 급식시설 및 설비사업 ▷교육정보화 사업 ▷교육시설개선 및 환경개선 사업 ▷교육과정 운영 지원에 관한 사업 등에 투자되는 예산이다.
김 의원은 "교육 분야는 주로 지역 교육청이 담당하지만, 지자체에서 감당해야 할 부분도 있는 만큼 미래 사회를 위해 교육투자율은 높일 필요가 있다. 지자체는 교육투자율 등을 획기적으로 높여 지역의 미래 경쟁력 제고에도 힘써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무상급식, 강당 건축비 등 학교여건개선사업 등을 포함한 비법정전입금은 제외돼 있어 자료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며 "이를 포함하면 최종예산 대비 교육경비 보조금 비율은 지난해 기준 0.57%에 이른다. 시청이 교육청에 준 지원금은 거의 제외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무상급식 등 학교여건개선 사업은 대부분 전국 17개 시도가 똑같이 매칭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의 교육투자율만 유독 낮은 이유를 설명하기는 부족해 보인다.
또 '교육부 공식 통계 자료가 지역의 자체 추산 자료와 맞지 않는다'는 주장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새로운 논란을 불러올 수 있는 대목이어서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