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커지면서 음식물 보관에 소홀해지는 가을에 오히려 식중독 발병 가능성이 높아져 주의가 필요하다.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5년(2013~2017년) 간 9~11월 대구에서 발생한 집단 식중독은 18건으로 전체 발생 건수 75건 중 24%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 발생한 집단 식중독도 411건으로, 전체 집단 식중독 발생 건수 중 25%로 분석됐다.
이는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가정 내에서 음식물을 상온에 보관하는 경우가 늘기 때문이다. 한낮 더위는 여전하기 때문에 상온에 둔 음식이 상하는 경우가 잦다는 것이다. 특히 9월에는 병원성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이 극성을 부리는 시기다.
병원성 대장균은 분변에 오염된 물, 오염수로 씻은 채소, 도축 중 오염된 육류에 의해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 병원성 대장균에 감염되면 설사와 복통, 발열, 구토를 일으키고 심하면 출혈성 대장염이나 용혈성 요독증후군, 혈전성혈소판 감소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국을 휩쓸었던 초코케이크 집단 식중독의 원인균인 살모넬라균은 달걀 등 동물성 단백질 식품을 부적절하게 취급하면 발생하기 쉽다. 복통과 설사, 구토, 발열과 혈변 등을 일으킨다.
김연신 대구시 식품관리과장은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손을 철저히 씻고 육류나 어류, 계란, 채소, 과일 등을 씻을 때 주변 음식에 세척수가 튀지 않도록 2차 오염을 주의해야 한다"며 "채소도 염소 소독액 등에 5분 이상 담근 뒤 물로 3차례 이상 씻어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