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3차 남북정상회담 이틀 전 정치권 반응은

여당 철저한 준비 당부, 보수성향 야당 보여주기 식 아닌 성과 강조

청와대가 16일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비롯한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 동행할 공식·특별 수행원을 발표했다. 사진은 정치권 특별수행원.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연합뉴스
청와대가 16일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비롯한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 동행할 공식·특별 수행원을 발표했다. 사진은 정치권 특별수행원.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연합뉴스

역사적인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이틀 앞둔 16일 남측 선발대는 평양으로 출발했고 청와대도 공식 수행원 14명, 특별수행원 52명, 일반 수행원 91명, 취재기자단 17명 등 200여명의 방북자 명단을 발표했다.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렸다. 여당은 야당을 향해 역사적인 노정에 함께 하자고 재차 제안했지만, 보수야당은 북한의 실질적인 비핵화보다 '쇼'가 앞서서는 안 된다며 경계했다.

먼저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한반도 평화의 진일보를 이룩할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 함께한 이들을 역사는 기억할 것"이라고 발밝혔다. 이어 "하지만 일부 야당은 이번 회담이 전혀 모르는 정상회담이라며 국민 정서와 정반대되는 비난에만 몰두하고 있는데 역사의 현장에 함께하자는 제안을 외면한 정당이 할 말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방북단에 함께 하기로 한 평화민주당과 정의당은 여당을 두둔했다. 홍성문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남북의 정상과 정·재계 관계자의 성공적인 만남을 준비하는 선발대의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고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도 "국민들의 바람과 세계의 이목에 부응할 수 있도록 정의당도 초당적인 협력을 다 할 것"이라고 호응했다.

반면 보수성향의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보여주기식이 아닌 성과로 말해 달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 "(이번 정상회담에서 우리는) 북한이 현존하는 핵무기, 핵물질, 핵시설을 폐기하고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겠다는 실질적인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확답을 받고 돌아와야 한다"며 "남북관계 발전은 비핵화 속도와 맞춰가야 하고 대북제재 완화 속도만 빨리하려 한다면 비핵화를 방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첫째도 비핵화, 둘째도 비핵화가 우선이라고 맞받았다.

바른미래당도 신중론에 힘을 보탰다. 김삼화 수석대변인은 "북한의 실질적인 비핵화라는 성과를 끌어내는 남북정상회담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