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진겪은 포항에 안전체험관 들어서야 함에도 정부 방관

단순한 교육안전시설로만 보면 안돼

포항 지진 현장. 매일신문DB
포항 지진 현장. 매일신문DB

지진체험센터 등이 들어설 국민안전체험관이 지진을 직접 겪고 피해를 입은 포항이 아닌 다른 지역에 들어서는 것으로 알려지자 포항시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17일 포항시와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2020년까지 소방안전교부세 680억원을 재원으로 대형·중형·특성화 체험관을 서울을 비롯한 전국 8개 지역에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대형 체험관은 서울 광주 경기 등 3곳, 중형 체험관은 충북 경남 제주 등 3곳이다. 특성화 국민안전체험관은 인천과 울산 2곳에 건립된다. 이 중 울산은 최근 320억원을 들여 전국 최대 규모의 특성화 국민안전체험관이 건립됐다.

지진체험센터는 국민안전체험관 내에 설치되며 단독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행안부의 이런 계획에 따르면 경북은 지진발생지임에도 지진체험센터가 마련되지 않는 것.

현재 경북지역에는 지진 대비에 특성화된 안전체험관이 한 곳도 없다. 그나마 포항에 포스코 글로벌 안전센터가 있지만 이는 포스코와 관련된 안전교육센터여서 학생과 시민 등 일반인의 이용에 한계가 있으며 지진체험과도 거리가 멀다.

지진 피해를 입은 당사자인 포항 시민들은 국민안전체험관의 경북 제외에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시민들은 "지진 피해를 겪은 것도 가슴 아픈데 정작 관련 시설을 포항이 아닌 다른 지역에 건립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지진 당시 정부가 포항을 위해 뭐든 다해줄 것같이 해놓고 이제 와서 외면한다면 반드시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항시는 지진 등 재난 및 안전 관련 활동을 종합적으로 체험, 교육할 수 있는 경북안전체험관(가칭)의 포항 건립을 경북도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추진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허성두 포항시 지진대책국장은 "지난해 11.15 지진과 올해 2.11 여진의 상징성과 교육수요량을 고려해 국민안전체험관의 포항 건립은 타당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