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의 진로전담교사 제도의 부실 운영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교육청의 진로상담교사 선발을 둘러싼 공정성 논란에 이은 대구 교육 현장의 또 다른 부끄러운 자화상이 아닐 수 없다. 이는 교육청의 진로전담교사제의 선발 잘못과 부실한 운영이라는 쌍둥이 허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일로, 교육청의 오랜 병폐이지만 마땅한 대책 마련에 나서지 않는 사실이 더 걱정이다.
지난 2011년 도입 이후 현재 대구에는 134명의 진로전담교사가 있다. 성실한 교사가 많겠지만 학교 현장에서 들리는 목소리는 불만투성이다. 뽑히고는 치열한 진로 상담 연구나 고민은커녕 주당 10시간의 수업 시수 혜택을 누리거나 성과상여금 평가 배려 같은 열매만 따 먹으니 ‘공공의 적’이란 비판이 쏟아질 만하다.
학생들의 희망 진로와 전혀 맞지 않는 생뚱맞은 상담은 물론, 소홀한 진학 상담 혹은 아예 상담하는 모습조차 찾아볼 수 없었다는 소식이다. 중학에서 고교로의 진학상담 경우 처음부터 손사래 쳤다니 어이없다. 일부 학교 홈페이지 진학자료 관리는 더욱 엉망으로, 3년 넘도록 옛 자료만 올린 채 방치된 곳도 있을 정도다.
이런 결과는 대구시교육청의 무책임한 교육행정의 산물이다. 제도 시행 7년에도 그동안 계속된 교육 현장의 불만에 귀를 닫은 탓이다. 자연히 개선책 마련은 뒷전이었다. 게다가 ‘노른자위’인 진로전담교사 자리를 입맛에 맞는 인물에게 주는 수단으로만 삼으려 했다는 의혹마저 있으니 대구 교육행정 책임자의 교육 철학 부재나 빈곤 역시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라도 교육청은 어느덧 ‘공공의 적’이 된 제도의 문제를 따져 복지부동의 교육행정에서 벗어나 정말 진로를 전담할 뜻을 가진 교사를 뽑는 틀부터 갖춰야 한다. 지금의 악순환 고리는 잘못된 선발부터였다. 선발 뒤 지속적인 지도감독과 교육 소비자인 학생·학부모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한 문제점 보완도 소홀히 할 일이 아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