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양버즘나무

서종철 논설위원
서종철 논설위원

양버즘나무는 1910년 무렵 미국에서 처음 들여와 심은 수종이다. 생육이 빠르고 병충해와 공해에 강해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가로수로 심기 시작했다. 잎이 넓어 여름철 그늘이 좋은 것도 각광받은 이유다.

나무껍질이 마치 마른버짐을 연상하게 해 버즘나무라고 했고, 키가 큰 외래종 버즘나무를 양버즘나무라고 불렀다. 바로 플라타너스다. 플라타너스(Platanus) 학명이 '넓다'는 뜻의 그리스어 '플라티스'(platys)에서 유래한 점도 가로수로서의 운명을 말해준다.

1970년대 대구 도심은 플라타너스 천지였다. 경북대병원과 삼덕네거리로 이어지는 동덕로, 시민운동장 주변, 대구역에서 옛 경북도청 구간, 무열대 앞 도로 등은 대표적인 플라타너스 거리였다. 키가 50m를 넘는 플라타너스가 지금도 위용을 뽐낸다. 전국 26만 그루 중 대구에 심은 것만도 3만 그루다.

그런데 세월이 플라타너스를 천덕꾸러기로 만들고 있다. 2010년 태풍 곤파스가 닥친 서울·경기지역의 플라타너스 수십 그루가 넘어져 큰 피해를 냈다. 그제 대구에서도 플라타너스가 넘어져 일대 교통이 통제됐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앞으로도 사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급하다.

플라타너스는 수명이 40여 년으로 짧고, 속이 빈 데다 뿌리 내림이 약해 비바람에 잘 쓰러진다. 동대구로의 명물이나 뿌리가 얕아 근심거리가 된 히말라야시다와 비슷하다. 시간의 흐름까지 보지 못하는 우리에게 자연은 또 하나를 일깨운다.

현재 전국의 가로수는 150여 종에 모두 680만 그루다. 벚나무(21.5%)와 은행나무(14.8%)가 가장 많다. 느티나무·단풍나무와 더불어 플라타너스(4.2%)도 적지 않다. 지난해 충주시는 플라타너스 때문에 열차 운행이 중단되자 도심 진입 구간의 수령 45년이 넘은 플라타너스 50여 그루를 베어 냈다가 큰 반발을 불렀다. 대구도 이를 교훈 삼아 사고에 대비하면서 조금씩 플라타너스의 퇴장을 준비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