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당 당협위원장 교체, 국감 전후로 정확한 규모 드러날 듯

자유한국당 일부 초선의원들이 지난 13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당협위원장직을 자진해서 내려놓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자유한국당 일부 초선의원들이 지난 13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당협위원장직을 자진해서 내려놓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재창당 수준의 당 혁신 촉구를 위한 선언문'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순례, 김규환, 성일종, 김성태, 이은권, 김성원, 문진국 의원.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의 당협위원장 교체 규모가 소속 의원들의 최대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현재로선 당협위원장 전원이 사퇴 결의를 한 시점이지, 현장 실사 등 정밀 심사 작업이 아직 시작하지도 않은 상황이어서 정확한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심사 기간 동안 상황에 맞게 평가 기준이 변동될 가능성도 있어 교체 대상은 매우 유동적이라는 게 비상대책위원회의 전반적 의견이다.

한국당은 추선 연휴 직전 현역 의원 전원을 포함해 전국 당협위원장 사퇴를 의결했다. 당협위원장이 공식 사퇴하게 되는 시기는 다음달 1일로 이날부터 중앙당의 공식적인 재평가 작업이 진행된다.

평가 기준은 기존 당협위원장 평가 기준에 '+ α'가 더해진다.

비대위의 한 핵심인사는 26일 "당협위원장을 재신임할지 낙마시킬지에 대한 평가는 기존 당헌당규상 기준에 비대위가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별도의 기준이 더해질 예정"이라며 "'+ α'되는 기준에는 정량적·정성적 평가 기준을 복합적으로 가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량적 평가는 피감기관이나 혈세로 외유를 떠난 전력이 있는 국회의원 등 도덕성이 주요 평가가 될 전망이며, 당 기여도 및 지역구 장악력도 우선시될 것으로 보인다.

정성적 평가로는 네거티브적인 요소보다는 긍정적인 요인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현 당협위원장으로서의 활동상과 현안 인지·해결 능력 등 지역 밀착도 등을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지역별로는 차등을 두지 않는 방안이 유력하다. 다른 한 비대위 관계자는 이날 "현재로선 각 지역별로 평가 차등을 두는 방안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예를 들어 대구와 광주의 당협위원장을 같은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다음주부터 시작될 당협위원장 평가 결과의 발표 시기는 현재로선 정해지지 않았으나 국정감사 전후로 예상된다. 예상 외로 심사 작업이 빨리 끝날 경우 국감이 시작되는 다음달 10일쯤으로 예상되나, 평가 기준이 보완되면서 더디게 진행될 경우에는 10월 말까지 발표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는 것이다.

평가 결과에 당협위원장이 탈락할 경우 사고 지역구에는 주로 정치 신인을 신임 당협위원장으로 세운다는 복안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