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워싱턴? 판문점? 빈?…北美정상 이번엔 어디서 만날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 개최를 시사한 뒤 제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 개최를 시사한 뒤 제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제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시기·장소가 곧 발표될 것이라고 밝힘에 따라 '언제, 어디서' 역사적인 두 정상의 재회가 성사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사한 대로 2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세계의 이목을 잡아당길 '핵(核)담판'이 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욕 롯데뉴욕팰리스호텔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머지않아 김정은 위원장과 두번째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며 회담 장소와 관련해선 "아마 (싱가포르가 아닌) 다른 장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회담장소로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DC가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12 정상회담에서 구두로 김 위원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김 위원장도 이를 수락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외교관계가 없는 정상끼리의 회담을 수도에서 연다는 것은 그 자체로 '수교'(修交)를 의미하는데다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여전히 의심하는 워싱턴 조야의 기류를 감안하면 쉽지 않은 결정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미회담 장소가 종전선언이라는 '빅 이벤트'와 맞물려 추진될 것이라는 분석에 주목한다면 한반도 정전체제를 상징하는 판문점이 유력한 장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의 가시적 비핵화 이행 없이 종전선언을 하는 것에 부담감을 가진 미국 내부의 분위기를 감안하면 판문점 행을 선택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워싱턴DC와 판문점 모두 양국 정상에게 정치적으로 부담을 줄 수 있는 장소라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은 중립적인 제3의 장소가 최종 낙점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오스트리아 빈과 같은 제3의 중립지대를 검토해 볼 수도 있다.

북미정상회담 장소뿐 아니라 시기도 관심거리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머지않아(in the not too distant future) 김 위원장과 두번째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고 말해 조만간 회담이 성사될 것임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11월 6일 중간선거 이전에 정치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10월 중 2차 정상회담을 추진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북미정상회담)을 서두를 것 없다"고 밝힌 점을 고려하면 회담 시기를 아예 연말 또는 내년 초로 늦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