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속보] 포스코교육재단 공립화 이유가 '돈 때문?'

포스코 사외이사들의 발언에 따라 추진됐다는 주장 나와

포스코교육재단이 태양광 설비를 포항과 인천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교옥상에 설치하고 이를 통한 교육활동을 펼치고 있다. 포스코교육재단 제공
포스코교육재단이 태양광 설비를 포항과 인천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교옥상에 설치하고 이를 통한 교육활동을 펼치고 있다. 포스코교육재단 제공

포스코가 포스코교육재단(이하 재단)이 운영하는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를 공립으로 전환(본지 5일 자 12면 보도)하려는 이유가 교육 혜택을 받는 학생 상당수가 포스코 직원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곳 재단에서 근무하다 퇴직한 한 간부에 따르면 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유치원~중학교에 대한 공립화 여부를 2년 전 컨설팅하는 과정에서 포스코 사외이사들이 교육 혜택을 받는 학생 상당수가 포스코 직원이 아닌 학생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이와 관련된 지출을 줄이라고 주문했다는 것.

포스코교육재단 내 학교에 다니기 위해서는 지곡주택단지 내에 주소를 둬야 한다. 그런데 2009년 지곡주택단지를 포항시민들에게 개방하면서 현재 살고 있는 포스코와 관련 회사 직원들의 비율이 30% 정도로 떨어졌고, 유치원~중학교에 재학하는 임직원 자녀들의 비율도 45%선이다.

이에 포스코 사외이사들은 '사립 형태로 유지하며 포스코 직원이 아닌 자녀들에게까지 혜택을 주는 게 맞는지' 의문을 제기하며 이에 대한 자구책으로 공립화를 추진했다는 것이다.

재단 퇴직자는 "포스코가 매년 250억~300억원 가량 재단 운영비를 지원하는데 재단 내 학교에 다니는 포스코 또는 관련 회사 임직원 자녀들이 줄면서 지원금 쓰임이 논란이 됐다"면서 "사외이사들이 유치원~중학교 교육은 국가에 맡기고, 재단은 고등학교 교육에 주력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그는 "효율 측면에서는 맞을지 몰라도 재단 건학 이념에는 부합되지 않는 판단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퇴직자의 말처럼 재단 정관 1장 총칙 1조에는 '이 법인(포스코교육재단)은 포스코 직원 자녀를 포함한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유치원, 초등, 중등 교육을 실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고 명시돼 있다.

이와 관련, 공립 전환 대상 포항 학교 직장발전협의회는 ▷교사와 교직원들의 신분 변화 ▷재단운영 위축 ▷특화된 교육시스템 붕괴 ▷지곡주민들의 반대 등을 우려하며 10일 '공립 반대 서명'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재단이 포항·광양·인천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치원~중학교 12곳 가운데 공립 전환 대상은 포항·광양 8개 학교다. 포항제철고, 포항제철공고, 광양제철고, 인천포스코고는 전환 검토 대상에서 제외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