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선 7기 100일 인터뷰]취수원 이전에선 이견 보이는 대구경북 한뿌리 단체장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1일 교환 근무한 2일 오후 팔공산 둘레길에서 손을 잡고 상생협력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1일 교환 근무한 2일 오후 팔공산 둘레길에서 손을 잡고 상생협력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8일 민선 7기 출범 100일을 맞은 가운데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취수원 이전'에 대해 여전히 서로 다른 해법을 내세우고 있다.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권 시장은 '취수원 이전과 무방류 시스템 동시 추진'을 제시했지만, 이 도지사는 환경부가 주장하는 '무방류 시스템 구축'에 무게를 두었다. 이는 지난 2일 한뿌리 상생 의지를 다지기 위해 시장·도지사가 서로 직함을 바꿔달았을 때 발언(본지 3일 자 1면 보도)과 전혀 달라지지 않은 것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환경부 장관 교체라는 새 변수가 등장하면서 어떤 접점이 마련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도지사는 "대구취수원 이전을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여러 방안을 검토한 뒤 단계적으로 하자는 것"이라며 "환경부에서 3천억원을 투자해 낙동강 무방류 시스템(물을 재활용해 폐수는 슬러지로 처리하고 강으로 흘려보내지 않는 친환경 시스템)을 구축해 주겠다고 한다. 일단 해보고 부족하면 취수원을 이전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권 시장은 "구미산단 폐수가 방류된 후 문산·매곡정수장으로 일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면 무방류 시스템에 찬성한다. 그러나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공장 폐수를 제로로 만드는 기술이 실용화된 적은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얼마 전 총리실에서 파일럿 시스템 가동 제안을 해왔다. 정부도 완벽한 무방류 시스템이 아직 없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라며 "물론 (총리실) 제안에 찬성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마저 안되면 시간만 허비하기 때문에 물 걱정이 많은 대구시민들을 위해 해평취수장 공동이용도 병행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구미산단에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하는 기업체들이 있다. 이를 확대해 폐수 방류를 원천적으로 막으면 된다"면서 "시민 동의가 없는 대구취수원 이전은 반대한다"고 일축했다.

권 시장은 "구미시가 우려하는 상수도보호구역의 확장, 수량·수질문제는 모두가 신뢰할만한 연구기관에 중앙정부가 용역조사를 발주해 가려내면 된다"며 "낙동강 수계에 대한 책임과 권한, 의무가 중앙정부에 있는 만큼 정부가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나부터 투쟁하고 싸우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