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당수 지방은행 가계대출 연간 원리금이 소득보다 많다

부동산 시장 활황 속에 주택 구매를 위해 대출을 끌어쓰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주요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모가 550조원을 훌쩍 넘겼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552조3천92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오전 세종시 한 시중은행 앞에 대출 홍보 현수막이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부동산 시장 활황 속에 주택 구매를 위해 대출을 끌어쓰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주요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모가 550조원을 훌쩍 넘겼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552조3천92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오전 세종시 한 시중은행 앞에 대출 홍보 현수막이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상당수 지방은행의 가계대출 차주들이 매년 갚을 원금과 이자가 연소득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에서도 가계대출 7건 중 1건은 연간 원리금이 소득보다 많았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월 신규 가계대출 기준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지방은행 6곳 중 4곳이 100%를 넘었다. 가계대출자들이 연간 버는 돈으로 대출 원금과 이자를 갚기에 부족하다는 것이다.

한 지방은행은 평균 DSR이 172%나 됐고, 전체 대출에서 DSR 100%를 초과하는 비중이 40.2%에 달했다. 나머지 2곳 중 한 지방은행은 평균 DSR이 92%였고, 다른 지방은행은 65%였다.

시중은행의 평균 DSR은 50%대였다. 또 이들 중 14.3%는 DSR이 100%를 넘었다. 한 시중은행은 DSR 100%를 초과하는 비중이 20.5%였고, 다른 은행은 평균 DSR이 80%였다.

인터넷은행은 상대적으로 DSR 비중이 작았다. 케이뱅크는 33%, 카카오뱅크는 34%였다. DSR 100% 초과 비중도 케이뱅크는 3.1%, 카카오뱅크는 2.9%였다. 이는 규모가 큰 주택담보대출을 다루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제 의원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가릴 것 없이 소득의 절반 이상을 빚 갚는 데 사용하는 가구 비중이 높아 DSR 규제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