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원한 독도 지킴이', 유일한 독도 주민 김성도 씨 별세

21일 서울 아산병원에서 지병으로 숨져

독도의 유일한 주민 김성도 씨가 21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김 씨의 빈소는 서울아산병원장례식장에 마련됐다. 경북도 제공
독도의 유일한 주민 김성도 씨가 21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김 씨의 빈소는 서울아산병원장례식장에 마련됐다. 경북도 제공

'영원한 독도 지킴이'이자 유일한 독도 주민이었던 김성도(79) 씨가 21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김 씨는 이날 오전 1시 20분쯤 지병 치료를 위해 입원했던 서울 아산병원에서 숨졌다. 김 씨는 간암 치료를 위해 지난 9월부터 이 병원에서 투병 생활을 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장례식장 지상 3층 34호에 마련됐으며 23일 오전 6시 발인을 거쳐 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김 씨는 과거 월남전에 참전한 국가유공자이다. 슬하에 외동딸이 있으며 사위는 울릉군청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다.

김 씨는 1965년 독도 최초의 민간인 주민 고 최종덕 씨와 함께 독도 서도에 숙소를 마련하고 같이 조업하며 생활했다. 1987년 9월 최 씨가 숨지자 2대 주민 조준기(최 씨 사위) 씨에 이어 1991년 3대 독도 주민으로 이름을 올렸다. 그는 독도관리선이 오가는 3~10월 서도 주민숙소건물(4층 건물) 2층에서 부인과 생활했다.

김 씨는 독도의 샘물인 '물골'로 올라가는 998계단을 직접 만들었다. 2005년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다케시마의 날' 제정 조례안을 통과시키자 민간 성금으로 건조된 '독도호'를 기증받아 직접 몰고 바다로 나가는 등 독도 수호 활동을 적극 벌였다.

21일 별세한 김성도 씨의 생전 모습. 김 씨는 독도 거소투표, 국세 납부 등 독도수호활동을 적극적으로 벌였다. 경북도 제공
21일 별세한 김성도 씨의 생전 모습. 김 씨는 독도 거소투표, 국세 납부 등 독도수호활동을 적극적으로 벌였다. 경북도 제공

2007년 4월 독도리 이장에 취임한 김 씨는 2013년부터 '독도사랑카페'를 운영하며 독도 방문객 등을 대상으로 기념품 판매를 했다. 그는 2014년 1월 독도 주민 최초로 기념품 판매 매출에 대한 국세를 납부해 독도의 국제법적 지위를 공고히 했다.

김 씨 부부는 2006년 5월 지방선거 때 독도에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돼 첫 투표를 했고 지난해 5월 19대 대통령선거 당시 독도에서 거소투표를 하는 등 선거 때마다 현지에서 소중한 한표를 행사했다.

이런 행보에 주목해 미국 유력 신문 중 하나인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T)는 2011년 8월 김 씨 인터뷰와 함께 한국·일본의 독도 영유권 다툼을 자세하게 보도했다. 2012년 8월 대한민국 대통령 최초로 독도를 방문한 이명박 전 대통령이 김 씨 부부를 만나 독도 지킴이 역할을 하는 데 대해 고마움을 표했다.

한편 김 씨가 숨짐에 따라 부인 김신열(81) 씨가 홀로 독도 생활을 이어가게 됐다. 경북도와 울릉군은 김 씨의 장례 절차를 마치고 나서 유가족 등과 함께 독도 4대 주민 선정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