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발적 사망"에서 "계획적 살해"…궁지 몰린 사우디, 말바꾸기 전략

'카슈끄지 피살 사건'과 관련, 배후로 지목되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연일 말 바꾸기를 하고 있다. 사우디가 갈수록 궁지에 몰리는 형국이다.

당초 자국 언론인 카슈끄지의 피살 사건에 대해 애초 모르쇠로 일관한 사우디 정부의 입장이 급변하고 있다. 뒤늦게 우발적 사고라는 조사 결과를 내놓은 데 이어 이번에는 '계획적 살해'를 언급했다.

이는 사우디 왕실에 비판적인 카슈끄지가 살해됐다는 정황이 하나둘 드러나면서 국제사회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압박이 커지고, 친우방국인 미국마저 점차 옹호에서 비판으로 태도를 바꾸자, 궁지에 몰린 사우디 정부가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을 인정하고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사우디 검찰은 25일(현지시간) 국영 방송을 통해 "터키 측 정보에 따르면 용의자들이 사전 계획해 의도적으로 저지른 사건"이라고 밝혔다.

사우디 검찰이 사우디와 터키 합동실무조사단의 제공 정보를 바탕으로 용의자들을 조사하는 가운데 이런 내용을 정부 매체를 통해 발표한 것은 계획적 범죄라고 사실상 인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사우디의 실세 무함마드 빈 살 만 왕세자는 24일 한 행사에서 "카슈끄지 살해는 정당화될 수 없는 흉악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당초 카슈끄지가 암살됐다는 의혹이 제기될 때만해도 사우디 정부는 "모르는 일"이라고 발뺌했다.

그러나 카슈끄지가 사우디 암살팀에 의해 잔인하게 살해됐다는 터키 경찰의 조사 내용이 터키와 미국 언론 등을 통해 잇따라 보도되면서 사우디는 사건 발생 18일 만인 지난 20일 카슈끄지의 피살을 확인했다.

당시 사우디 검찰은 카슈끄지가 총영사관에서 용의자들과 대화를 하다가 주먹다짐이 벌어져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사우디 검찰은 이번 사건과 관련, 자국인 18명을 체포해 조사 중이다.

하지만 이들 용의자 가운데 무함마드 왕세자와 가까운 인물 등이 포함돼 있는 데다 사우디 검찰이 카슈끄지 시신의 소재를 밝히지 않아 우발적 사고라는 발표는 오히려 의문을 키웠다.

더욱이 카슈끄지가 고문을 받고 잔혹하게 살해되는 상황이 녹음된 기록을 터키 경찰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 상황이었다.

이후 세계 각국은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한편, 독일을 중심으로 한 대 사우디 무기수출 중단을 추진하는 등 반사우디 기류가 강해지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지난 23일 이번 사건에 대해 "사상 최악의 은폐"라며 사우디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또한 해스펠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이번 주 터키를 방문, 문제의 살해 상황 녹음 내용을 듣고 25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터키의 카슈끄지 사건 수사 내용을 보고했다.

이 사건에 대한 사우디의 설명이 바뀐 것은 사우디가 위기 탈출을 위해 애쓰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AP 통신은 지적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의 암살 배후로 의심받는 무함마드 빈 살만(오른쪽) 사우디 왕세자가 23일(현지시간) 리야드에서 열린 국제 경제회의 미래투자이니셔티브의 패널토의에 사드 알하리리(오른쪽 2번째) 레바논 총리 등과 참석 중인 모습. 그는 이날 40분간 진행된 토의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의 암살 배후로 의심받는 무함마드 빈 살만(오른쪽) 사우디 왕세자가 23일(현지시간) 리야드에서 열린 국제 경제회의 미래투자이니셔티브의 패널토의에 사드 알하리리(오른쪽 2번째) 레바논 총리 등과 참석 중인 모습. 그는 이날 40분간 진행된 토의에서 "카슈끄지 살해 사건은 악랄한 범죄로, 모든 사우디인과 인류에 고통스러운 일"이라며 "절대 정당화될 수 없고 정의가 승리하게 될 것"이라면서 공개 석상에서 처음으로 이 사건을 직접 언급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