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장기실업자 1∼9월 15만명, 외환위기후 최다

실업자 112만명·구직단념자 51만6천명으로 역대급 수준

고용 상황이 악화한 가운데 장기간 일을 구하지 못한 실업자가 최근 19년 사이에 최다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28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장기실업자'는 올해 1∼9월 평균 15만2천 명이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명(6.9%) 늘었다.

1∼9월 기준 장기실업자 수는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1999년 6월 이후 올해가 가장 많았다.

외환위기의 충격이 남아 있던 2000년 1∼9월 장기실업자도 14만2천명으로, 올해 1∼9월보다 적었다.

올해 1∼9월 실업자 수는 111만7천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만1천명 늘었다.

비교 가능한 통계가 제공되는 최근 19년 사이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오랜 구직 활동에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이들이 취업을 포기하는 사례도 속출했다.

올해 1∼9월 구직단념자는 월평균 51만6천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1천명(6.5%) 늘었다.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구직단념자 수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1∼9월 구직단념자 수는 올해가 가장 많았다.

실업자를 위한 공적 지출 역시 기록적으로 늘었다.

한국고용정보원 통계를 분석하면 올 1∼9월 실업급여 지급액은 약 5조37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작년 같은 기간에 지급한 실업급여(약 4조929억원)보다 약 9천448억원(23.1%) 많았다.

고용지표 악화는 한국경제의 구조적 어려움과 맞물려 악순환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보다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기와 비교한 실질 GDP 성장률은 올해 1분기에는 1.0%를 기록했지만 2분기 0.6%로 축소한 후 두 분기 연속 0%대에 머물렀다.

전년 동기대비 성장률은 3분기에 2.0%를 기록해 9년 만에 가장 낮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