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돈 아까 500원짜리 줬는데 나머지 줘요." "네가 잘못 생각했다. 나는 500원을 받은 적이 없다."
50여 년 전, 10년 넘게 한 경북 예천의 우망초교 뒤 작은 초가집 문구점의 어느 날 아침, 주인과 학생이 주고받은 대화다. 1원, 5원, 10원짜리 동전이 쓰일 때고 500원짜리 동전은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물건을 산 학생은 500원짜리를 주었다는데, 주인은 받지 않았다고 했으니 결국 학생은 '시멀큼하게' 돌아설 수밖에 없었다.
그날 저녁, '돈 통을 쏟아서 미직 미직 깐주리는데 500원짜리가 한 개 나왔다.' 공책 한 권이 100원 정도 할 때니 '아이들 돈으로는 제법 큰돈'이었다. 주인은 '큰일 났구나' 했으나 그 학생을 기억할 수도, 찾을 수도 없었다. 1, 2년쯤 지나 주인 가족은 대구로 이사했고 이사 전까지 그 학생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으니 말이다.
올해 86세의 류우순 할머니가 지난 세월 가슴속 회한의 옛 사연의 글을 고향 소식지에 올렸다. 최근 나온 향토지 '낙동춘추' 제3호에 이를 실은 할머니는 '지금은 한 50여 세 조금 더 되지 않을까' 짐작될 '코흘리개 학생'의 '어린 것이 얼마나 상처가 크고 깊었을까' 하며 '지금까지 아파하고' 진심의 사과와 함께 학생의 연락을 바랐다.
"그 학생이 누구인지 혹시라도 알게 되거든 전화라도 한 번 주세요. 그때 정말 미안하고 또 미안하고 열 번, 백번 사과할게요. 정말 미안해요."
할머니의 가슴 저린 사연과 회한 잔뜩한 '참회록'이 더욱 돋보이는 까닭은 지금 우리 사회를 휘젓고 다니는 나랏돈 빼먹기와 판을 치는 세금 도둑 소식이 끊이지 않아서다. 이런 흐름에는 공사(公私)가 한 몸이다. 환경부 출신으로 환경공단을 점령한 '환피아'처럼 관료 퇴직자가 나랏일을 좀먹는 뭇 이름의 '피아'가 강시처럼 배회하고, 유치원 비리가 말하듯 어긋난 백성들도 사복(私腹) 채우기 바쁘다.
조선의 문인 이옥의 말처럼 '어디를 가든 아름답지 않은 곳이 없고, 누구와 함께하든 아름답지 않은 곳이 없다'는 우리 강산의 이 가을에 류 할머니와 같은 따뜻한 마음과는 사뭇 다른 사람들이 어찌 이리도 많을까. 할머니의 바람이 꼭 이뤄지길 빌 따름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