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문을 연 대구문화재단(대표 박영석)은 직원 9명에서 출발해 연간 47억원의 예산으로 지역의 문화예술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만 9년째을 맞이하는 올해 재단 직원은 54명(정원 60명), 연간 예산은 280억원에 가깝다. 30여 개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을 정도로 재단의 역할 역시 폭넓고 다양해졌다.
◆280억원 예산의 사용처
27,924,814,000원. 올해 대구문화재단 총예산이다. 이 중에서 각종 문화예술 공모 및 지원사업에 쓰이는 돈은 91억원 정도로 전체 예산의 3분의 1정도다.
큰 틀에서 문화재단의 지원예산 사용처를 살펴보면 ▷문화예술 관련 각종 공모사업 91억원 ▷저소득층(차상위 계층 포함) 문화바우처(통합문화이용권) 사업 73억원 ▷대구공연예술축제 및 각종 시민주간 행사 35억원 ▷5개 위탁운영기관(대구예술발전소+대구문학관+가창 창작 스튜디오+범어 아트스트리트+대구공연예술연습공간) 운영비 27억원 ▷재단 인건비 및 운영비 23억원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18억원 ▷기타 12억원 등으로 나뉜다.

◆각종 공모사업 지원 선정 매년 논란
올 한해 동안 각종 지원사업 1천708건 중에서 선정건수는 711건. 각종 공모사업에서 탈락한 1천 개에 가까운 단체나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재단은 원망스러울 수 있다. 공모사업에서 밀려난 이들은 대구문화재단을 상대로 불공정 시비를 비롯해 온갖 의혹을 제기하기도 한다.
재단의 공모사업 심사에서 매번 고배를 마신다는 한 연극단체 대표는 "공모 시작 전에 이미 내정된 단체가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며 "내부 관계자와 인맥이 있는 단체가 무리없이 지원을 받는 것을 볼 때, 불공정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고 말했다.
심사위원 선정도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해 재단 공모사업 심사에 참여한 지역의 한 대학교수는 "내가 마치 거수기가 된 듯한 느낌을 받은 적이 있다"며 "특정단체를 염두에 두고 심사를 진행하는 듯해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대구문화재단 고위 관계자는 "운영상에 다소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이번에 재단의 각종 의혹 및 조직 내부 비판을 계기로 각종 공모 및 지원사업 제도와 시스템을 더 보완, 정비하겠다"며 "내년부터는 더 치밀하게 심사위원단을 구성해 공정성 시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소액 발주 건도 업체 쏠림
특정 기획사에 특혜를 주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일반적으로 행정사무감사나 대구시 종합 감사에서 500만원 미만 소액 발주 건들에 대해서는 자료 요청이 없다는 점을 이용해, 소형 현수막이나 배너, 간이 인쇄물 등 100만원 미만의 소액건을 특정 기획사에 지나치게 높은 견적에 발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업체의 견적에 비해 특정 업체의 견적이 지나치게 높은 데도 이 업체에 사업이 발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 대해 재단 직원이 문제를 제기했다가 오히려 '업무에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으로 비난 받은 경우도 있다고 재단 직원들이 밝혔다.
이런 지적에 대해 대구문화재단 예산담당 관계자는 "문화재단이 지원예산을 쥐고, 마치 권력을 휘두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그 내막을 살펴보면 적은 예산을 나눠서 좀 더 많은 문화예술인들에게 지원해주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대구문화재단 문화예술노동조합은 1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재단 자체를 비리의 온상처럼 보이게 하는 이 상황이 참담하다" 며 "재단 스스로 비리와 부당함을 고발하고, 냉정하게 검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