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역 기여 없이 해만 끼치는 영풍석포제련소

영풍석포제련소의 이중성 등 그 민낯이 하나둘 드러나고 있다. 폐수 무단 방류에 따른 경북도의 20일 조업 정지 조치가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논리로 악착같이 소송에 나서면서도 타 지역의 영풍 계열사와는 달리 경북 지역 기여 활동은 미미해 생색 수준에 그치고 있다. 주변 환경 오염 행위는 부인하면서 토양 오염 정보는 공개하지 못하게 봉화군을 상대로 소송까지 낼 정도다.

영풍석포제련소의 환경 오염 행위와 낙동강 상류 오염을 둘러싼 논란은 어제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이미 오래전 토양 오염 조사로 그 실태가 드러났고, 철새나 물고기의 떼죽음 등 경고등이 수시로 켜졌다. 1970년 공장 가동 이후 환경 당국의 관리 감독 손길마저 미치지 않아 그 폐해가 계속 누적된 상태다.

영풍제련소가 2013년 이후 최근까지 환경 관련 법령을 48건이나 위반한 것도 좋은 증거다. 그러나 조업 정지 등 별다른 조치 없이 대신 돈으로 때웠다. 조업이 중단되면 지역 경제에 나쁜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논리로 포장했다. 여기에다 지난해 국감에서 드러났듯 환경부 출신 관료들이 영풍 기업에 좍 포진해 있으니 석포제련소는 사실상 무풍지대나 다름없었다.

제련소의 지역 기여 활동을 보면 그간 상투적으로 앞세운 지역 경제 논리는 영 터무니가 없다. 되레 영풍 기업의 지역 차별 등 이중성만 보여준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석포제련소가 연매출 1조4천억원을 기록하면서도 사회 공헌 금액은 고작 3억원이 다다. 반면 울산 소재 계열사인 온산제련소는 매년 20억원 이상 기금을 쓰는 등 지역 기여도가 비교가 안 된다는 게 본지 취재 결과로 확인됐다.

중금속 오염 정도를 알 수 있는 토양 정밀 조사 보고서 공개를 막기 위해 봉화군에 소송을 제기한 일도 제련소의 이중성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환경 오염 행위를 인정하지 않는 제련소가 오염지도 공개를 막는 것은 모순이다. 소송을 방패 삼아 사실을 은폐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의혹만 키울 뿐이다.

기업 이윤 때문에 환경과 지역민이 볼모가 되는 일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 기업의 행위가 도를 넘으면 기업 윤리가 의심받고 여론의 비난도 피할 수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