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전후보지 선정 이후 감감무소식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 국방부, 정부 추진 의지 있나?

정부·국방부·한국공항공사·대구시·경북도 역할 분담해야
최종 부지 선정 올해 넘겨서는 안돼

올 초 두 곳의 이전후보지 선정 이후 8개월가량 감감무소식인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과 관련, 국방부와 정부의 추진 의지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방부는 지난 3월 14일 '대구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이전후보지로 군위 우보면과 의성 비안면·군위 소보면 두 곳을 확정했다. 당시 송영무 국방부장관과 권영진 대구시장은 "추진속도를 높여 올해가 가기 전에 최종 이전부지를 확정하겠다"고 밝히면서 10여년 된 지역 현안 해결에 대한 지역민들의 기대감은 컸다.

하지만 이후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 시계는 완전히 멈춰섰다. 최근엔 이전사업비 문제로 대구시와 국방부 간의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연내 최종 이전부지 확정은 물론 자칫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위기감마저 퍼지고 있다.

지역 한 기업인은 "지난 지방선거 과정에서 통합이전을 내세운 권 시장과 분리이전을 주장한 이진훈·임대윤 전 구청장을 두고 다수의 대구시민들이 권 시장의 손을 들어줬다. 이후 이전사업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다시금 반대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대구 동성로에서는 시민단체, 더불어민주당 관계자 등이 '시민의 힘으로 대구공항 지키기 운동본부'를 결성하고 통합이전 반대를 외쳤다. 이들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기존 공항을 매각하고 군 공항을 지어주는 기형적인 사업이므로, 군 공항만 내보내고 도심형 민간 공항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지역 여론이 다시금 갈라지고 있다.

때문에 지역민들은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항인 만큼 국방부는 물론 청와대가 나서서 추진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국가시설인 군 공항 이전에 정부와 국방부, 한국공항공사, 대구시, 경상북도 등이 역할을 분담해 지역의 최대 숙원을 해결하는데 적극 나서라는 것이다.

강주열 '하늘길살리기운동본부' 집행위원장은 "군 공항은 국가가 최우선으로 관리해야 하는 군사시설이다. 정부와 국방부 등이 적극 나서도 모자랄 판에 이전후보지 선정 이후 8개월이 지나도록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라면서 "무안공항으로 이전이 결정된 광주 민간공항 경우 한국공항공사가 전액 국비로 부담하는 만큼 대구 민항도 국비를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백영 통합신공항 대구시민추진단 공동대표도 "통합 신공항은 현 정부 100대 과제에 포함돼 있고, 이전후보지도 군위·의성 2곳으로 압축돼 있다. 공언한 대로 연내 최종 이전부지가 선정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