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난해 수능 부정행위 절반이 '4교시 탐구영역 응시방법 위반'

전자기기 소지도 많아…"전자담배·블루투스 이어폰 안돼요"

지난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부정행위로 적발된 수험생 가운데 절반가량은 4교시 탐구영역 응시방법 위반으로 나타났다.

11일 교육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4∼2018학년도) 수능에서 매년 200명 안팎이 부정행위자로 적발됐다. 연도별 부정행위 건수는 ▷2014학년도 188건 ▷2015학년도 209건 ▷2016학년도 189건 ▷2017학년도 197건이었다. 지난해 치러진 2018학년도 수능에서는 전년 대비 22.3% 급증한 241건의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지난해에는 특히 4교시 탐구영역 응시방법을 지키지 않은 경우가 113건으로 전체 부정행위 중 절반가량(46.9%)을 차지했다. 2017학년도 69건보다 63.8% 급증한 수치다.

한국사 외에 한 과목 또는 두 과목을 택하는 탐구영역의 경우 시간별로 자신의 선택과목이 아닌 다른 과목 문제지를 보거나, 동시에 두 과목 이상의 문제지를 보면 부정행위다. 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이 대기시간에 다른 시험 준비를 하거나 답안지를 작성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해 4교시 응시방법은 전년도와 차이가 없었는데 유난히 부정행위로 적발된 수험생이 많았다"며 "올해는 유의사항을 4교시 시험 전 방송으로 고지하고 감독관이 두 번 읽어주도록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부정행위 가운데 4교시 응시방법 위반 다음으로 많았던 유형은 전자기기 소지(72건)였고, 시험 종료 후 답안 작성(40건)과 기타(16건)가 뒤를 이었다.

교육부는 4교시 응시방법 유의사항과 함께 시험장 반입 금지 물품도 숙지해달라고 수험생들에게 당부했다. 수능시험장에는 휴대전화, 스마트워치를 비롯한 스마트기기, 디지털카메라,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카메라펜, 전자계산기, 라디오 등 모든 전자기기의 시험장 반입이 금지된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전자담배와 블루투스 이어폰도 반입 금지 물품으로 명시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