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시청 신축 계획의 핵심은 '대구의 랜드마크'

대구시가 새 청사 건립 추진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이번 주 확정한 신청사 건립 로드맵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중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위원회의 건립 방안 마련과 후보지 접수, 시민참여단의 평가를 거쳐 내년 12월까지 부지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이 로드맵으로 10년 넘게 끌어온 신청사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환영할 일이다.

대구시가 새 청사 건립의 고삐를 바짝 당기기 시작한 것은 250만 대구의 위상 제고나 시민 편의, 행정 쇄신 등 여러 측면에서 볼 때 바른 판단이다. 그동안 예산 확보 등 난관 때문에 추진에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는 점은 이해하지만 이제야 추진 일정표를 내놓은 것은 한참 늦은 일이다. 입지를 둘러싼 잡음 등 불필요한 논란이 커진 것도 청사 추진 계획의 구체성이 결여된 탓이 크다.

만약 심각한 견해 차이만 없다면 1년 후 입지 선정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불협화음을 키우는 자기중심적인 목소리가 아니라 '시민 손으로 직접 결정한다'는 대원칙을 지키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니다. 이런 점에서 대구시는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공론화 과정이 이뤄지고 절차대로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새로운 시청사 마련은 시민 입장에서는 매우 중대한 일이다. 단순히 시정의 중심센터를 세운다는 표피적인 접근법으로는 좋은 결과를 내기 어렵다. 지방정부 청사의 공간적 상징성이나 역사·문화적, 사회적 역할과 기능 등 그 중요성에 비춰볼 때 해묵은 틀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문제다. '메트로폴리탄 대구'의 상징이자 시민이 언제든 찾는 중심 공간 즉 시민사회의 구심점이자 랜드마크가 되어야 한다는 소리다.

대구라는 도시의 정체성과 역사성, 미래 지향성 등 지나온 시간과 성격, 발전상을 적절히 담고 조화시킨 신청사야말로 오롯이 250만 시민의 자산이 될 수 있다. 이런 관점 없이 시류에 따라 입지를 결정한다면 타 지자체의 잘못된 전철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시민사회의 컨센서스를 모아 그곳에 청사가 있어야 하는 이유에 주목하고 최적지를 결정해야 한다. 두고두고 후회할 결정은 없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