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울릉도 일주도로 사업계획이 확정된 지 55년 만인 28일 미개설 구간 4.75㎞가 개통됨에 따라 울릉도 일주도로 전 구간(44.55㎞)이 개통된다고 26일 밝혔다.
울릉도 일주도로는 1963년 3월 울릉도 종합발전계획의 하나로 사업계획이 확정된 후 1976년 8월 일주도로 39.5㎞ 구간 차도개설 공사를 착공하였으며, 1979년 8월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와 저동리 간 2.3㎞ 구간에 첫 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그 후 1995년 11월 일주도로를 지방도 926호선으로 지정하였으며, 2001년까지 울릉읍 저동리 내수전에서 북면 천부리 섬목 구간 4.75㎞를 제외한 전체 39.8㎞ 구간을 개통했다.
미 개통 4.75㎞ 구간은 해안절벽의 난공사 구간일 뿐만 아니라 엄청난 사업비 부담으로 10년 이상 공사가 중단되어 주민 및 관광객이 큰 불편을 겪어 왔으나, 경북도의 끈질긴 노력 끝에 2008년 11월 울릉도 일주도로의 국가지원지방도 승격과 함께 국비 1천264억원을 지원받아 공사를 재개해 사업계획 확정 후 55년 만에 울릉도 일주도로 전 구간 개통이라는 큰 결실을 냈다.
울릉도 일주도로 건설공사는 울릉읍 저동리와 북면 천부리를 잇는 4.75㎞ 구간의 미 개통 도로를 연결하는 공사로 7년간(2011~2018년) 총 1천387억원(국비 1천264, 도비 123)의 사업비가 투입되었다.
주요 시설물로는 터널 3개 소 3천559m(내수전 1천527m, 와달리 1천955m, 섬목 77m), 교량 1개 소 32m, 터널통합관리사무소 1개 소 등이 있으며, 도로 폭은 8m(2차로)로 차량 교행이 충분히 가능하다.
더불어 경북도는 울릉도 일주도로 개통과 함께 기존 일주도로 개량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기존도로의 노폭이 협소하고 해마다 반복되는 자연재해(낙석, 산사태, 너울성파도, 겨울철 상습결빙 등)로 인해 차량통행 및 주민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경북도는 중앙정부를 끈질기게 설득한 끝에 5년간(2015~2020년) 총사업비 1천482억원을 투입해 터널 5개 소, 피암터널 4개 소, 교량 5개 소, 해안도로 확장 등 기존 울릉도 일주도로 21.1㎞ 개량공사를 순조롭게 진행 중에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