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부내륙철도 성주군 구간 역사 대신 신호장 설치 주민 반발 확산

역사 없이 통과만 하는 철도는 지역 발전 걸림돌될 뿐

29일 정부가 발표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 사업에 포함된 경북 김천∼거제 간 남부내륙철도(일명 서부경남KTX) 노선도. 연합뉴스
29일 정부가 발표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 사업에 포함된 경북 김천∼거제 간 남부내륙철도(일명 서부경남KTX) 노선도. 연합뉴스

성주가 포함되는 남부내륙철도 사업이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에 선정된 뒤 환호성을 질렀던 성주군민들이 철도 성주군 구간에 역사가 아닌 신호장이 들어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성주군을 중심으로 남부내륙철도 성주 구간 내 역사 유치를 위한 범군민서명운동 등 집단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사드 배치에 따른 SOC 사업 등 정부가 제안한 지역 현안 해결이 지지부진한 것과 맞물리면서 사드 배치 반대 목소리가 또 다시 높아질 조짐까지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성주군 등에 따르면 남부내륙철도는 김천~거제 구간의 기점과 종점을 비롯해 성주·합천·진주·통영 등 9개 시군을 통과하는 연장 172㎞의 단선철도 건설 사업으로, 지난달 29일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확정돼 본격 추진을 앞두고 있다.

이에 성주군민들은 남부내륙철도와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통해 사람과 자원이 몰려들면 상대적으로 낙후한 성주 서부권 개발이 앞당겨지고 성주군이 한단계 더 도약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크게 반겼다.

하지만 성주군 구간에 역사 대신 신호장이 들어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호는 곧바로 실망으로 바뀌었다. 2017년 한국개발연구원(KDI) 기초용역 자료에 따르면 성주 인근은 신호장으로, 합천 일대는 역사로 표기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신호장은 역사나 주차장 등과는 완전히 다른 단선철도 운행을 위한 신호체계에 불과해 고용 창출, 주민편익, 경제적 효과 등 어느 하나도 기대할 수 없는 시설이다.

이와 관련해 지역에선 남부내륙철도 경북지역 구간에 최소 역사 한 곳은 반드시 신설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사드 배치로 피폐한 지역의 민심을 수습하는 최소한의 배려로 성주군이 우선 검토돼야 한다는 여론이 적잖다.

성주군 가천면이 고향인 대구 한 중학교 교사는 "이번 설 명절 때 고향을 방문해 만난 친구·선후배·어르신들의 관심사는 김경수도, 손혜원도 아닌 남부내륙철도 역사 설치였다"며 "역사 없이 통과만 하는 철도는 땅덩어리만 갈라 지역발전을 저해할 뿐 아니라 소음 등으로 오히려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며 불만을 쏟아냈다"고 전했다.

이병환 성주군수는 "남부내륙철도와 관련해선 예타 면제로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는 것 외에 결정된 게 없다. 기초용역은 말 그대로 기초자료일 뿐"이라며 "실시설계에 성주군 내 역사 설치가 반영될 수 있도록 경북도와 연계해 정부와 관계기관에 설명하고 설득하는데 모든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