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결핍 환자가 봄 보다 겨울철에 30%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50대 여성에게서 비타민 D 결핍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비타민D 결핍'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매년 증가 추세이고 겨울철 환자가 봄철환자보다 30%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4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비타민D 결핍'으로 병의원을 찾은 진료인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18,727명에서 2017년 90,014명으로 연평균 48.1% 증가하였다. '비타민D 결핍'으로 병의원을 찾은 남성은 2013년 5,001명에서 2017년 19,148명으로 연평균 39%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3년 13,726명에서 2017년 70,866명으로 연평균 50%이 늘었다.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50대 환자(25,839명, 28.7%)가 가장 많았고, 40대(17,907명, 19.9%), 60대(16,450명, 18.3%)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50대>40대>60대순으로 많았으며 이 구간에 속하는 환자는 남성은 전체 환자의 60%, 여성은 70%정도를 차지하였다.
비타민D는 지용성비타민의 한 종류로서 칼슘대사를 조절하여 체내 칼슘과 인의 흡수를 돕고 뼈를 강화하며 △세포의 성장 △근력발달 △면역기능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족시 △구루병 △골연화증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일부암 등의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박세희 교수는 최근 4년간 '비타민 D결핍'의 진료 인원이 최근 꾸준히 증가한 원인에 대해 "비타민D의 뼈, 근육, 면역 작용과의 연관성 및 중요성이 알려지고, 서구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혈중 비타민D 수치가 낮다는 사실 또한 알려지면서 사회적인 관심 증가되었다"며 "이에 비타민D 결핍에 대한 검사, 검진이 증가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비타민D 결핍의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많은 이유에 대하여 "여성의 경우 외출 시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르는 것이 일상화되어 햇빛에 의한 비타민D 생성이 충분히 되지 않아, 비타민D 결핍이 더 흔히 나타날 수 있다"며 "또한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검진으로 동반 위험 요인으로서 비타민 D 결핍에 대한 진료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40~60대 중장년층에서 환자가 많은 원인에 대해서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노화로 인하여 햇빛에 노출되어도 피부에서 비타민 생성 능력이 떨어지고, 음식에 의한 비타민 D 섭취가 줄어들게 되어 비타민 D 결핍 위험이 높아진다"며 "특히나 중장년층에서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적극적인 검진 등으로 인해 진료인원이 증가한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