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동강 보 처리 방안 연내 결정 너무 이르다'

낙동강 보 철거 신중히 접근해야

22일 전남 나주시 다시면 죽산보 아래로 영산강이 흐른다.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는 경제성과 환경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죽산보를 해체하는 처리방안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22일 전남 나주시 다시면 죽산보 아래로 영산강이 흐른다.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는 경제성과 환경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죽산보를 해체하는 처리방안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낙동강 등 4대강 일대 보 처리 방안 연내 결정은 과도한 속도전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농민 반대로 미뤄지다 이제 막 개방해 모니터링을 시작한 낙동강 대구경북지역 보 처리 방안도 급하게 연내 확정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22일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이하 4대강 기획위)는 금강과 영산강 5대 보 가운데 3개를 해체 혹은 부분 해체해야 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한강·낙동강 일대 보 처리 방안은 연내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즉각 성급한 결정이란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해 11월 출범한 4대강 기획위가 3개월 만에 보 해체 등 처리 방안을 내놓은 게 너무 이르다는 것이다. 이에 환경부는 24일 '2017년 6월부터 보를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모니터링해 실측 자료를 확보한 결과'라는 입장을 내놨다. 적어도 1년 이상 축적한 자료로 조사·평가했다는 의미다.

낙동강 상류 보 상황은 또 다르다. 구미보가 지난달 24일 첫 개방을 시작했고 상주·낙단보는 22일에야 수문을 열었다. 칠곡보는 인근에 대규모 취수장이 있어 일부 개방도 불가능한 여건이다. 연내 처리 방안을 내놓는다면 금강·영산강 보 보다 각종 자료를 축적할 기간이 훨씬 짧은 셈이 된다.

고려해야 할 요소는 낙동강이 오히려 더 많다. 금강·영산강 유역과 달리 낙동강 대구경북지역 주변에서는 보 물을 농업용수로 많이 활용하고 있어 이를 제대로 분석해야 하는 탓이다.

전체 16개 보 가운데 절반이 몰린 낙동강 유역 농민들은 보 주변 양수장을 통해 가뭄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농업용수 공급을 보장받고 있어 '4대강 보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보에 물이 담기며 주변 지하수도 풍부해져 관정을 깊이 뚫지 않아도 되는 덕에 비닐하우스 등 각종 시설농가 용수 확보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실제 대구경북지역에서 "낙동강 보 주변 가뭄 해결을 위해 수자원 활용도를 높이는 데 투자해야 할 막대한 예산이 보 해체에 들어간다면 농민들이 쉽게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환경부가 낙동강 상류 보 개방을 위해 최근 농민들과 업무협약을 맺으며 '보 철거가 전제가 아니다'고 약속한 상황에서 성급한 보 해체 권고가 나오면 극심한 농민 반발을 불러 올 것이라는 전망도 적잖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