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등 4대강 일대 보 처리 방안 연내 결정은 과도한 속도전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농민 반대로 미뤄지다 이제 막 개방해 모니터링을 시작한 낙동강 대구경북지역 보 처리 방안도 급하게 연내 확정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22일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이하 4대강 기획위)는 금강과 영산강 5대 보 가운데 3개를 해체 혹은 부분 해체해야 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한강·낙동강 일대 보 처리 방안은 연내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즉각 성급한 결정이란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해 11월 출범한 4대강 기획위가 3개월 만에 보 해체 등 처리 방안을 내놓은 게 너무 이르다는 것이다. 이에 환경부는 24일 '2017년 6월부터 보를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모니터링해 실측 자료를 확보한 결과'라는 입장을 내놨다. 적어도 1년 이상 축적한 자료로 조사·평가했다는 의미다.
낙동강 상류 보 상황은 또 다르다. 구미보가 지난달 24일 첫 개방을 시작했고 상주·낙단보는 22일에야 수문을 열었다. 칠곡보는 인근에 대규모 취수장이 있어 일부 개방도 불가능한 여건이다. 연내 처리 방안을 내놓는다면 금강·영산강 보 보다 각종 자료를 축적할 기간이 훨씬 짧은 셈이 된다.
고려해야 할 요소는 낙동강이 오히려 더 많다. 금강·영산강 유역과 달리 낙동강 대구경북지역 주변에서는 보 물을 농업용수로 많이 활용하고 있어 이를 제대로 분석해야 하는 탓이다.
전체 16개 보 가운데 절반이 몰린 낙동강 유역 농민들은 보 주변 양수장을 통해 가뭄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농업용수 공급을 보장받고 있어 '4대강 보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보에 물이 담기며 주변 지하수도 풍부해져 관정을 깊이 뚫지 않아도 되는 덕에 비닐하우스 등 각종 시설농가 용수 확보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실제 대구경북지역에서 "낙동강 보 주변 가뭄 해결을 위해 수자원 활용도를 높이는 데 투자해야 할 막대한 예산이 보 해체에 들어간다면 농민들이 쉽게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환경부가 낙동강 상류 보 개방을 위해 최근 농민들과 업무협약을 맺으며 '보 철거가 전제가 아니다'고 약속한 상황에서 성급한 보 해체 권고가 나오면 극심한 농민 반발을 불러 올 것이라는 전망도 적잖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