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임기의 여성이라면 한 달에 한번 신경 쓰이는 기간이 있다. 바로 생리기간이다. 생리가 시작되면 몸의 컨디션이 크게 나빠진다.
그런데 보통 사람들보다 생리기간이 괴로운 이들이 있다. 바로 생리통을 겪는 사람들이다. 생리통은 사람마다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해 조금 불편할 뿐인 경미한 통증을 느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제대로 눕지도 못 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생리통은 보통 생리기간에만 나타나고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증상이라는 생각에 특별히 치료받을 생각을 하지 않기도 한다. 하지만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생리통증상이 오랫동안 지속된다면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는 전문가의 조언이다.
경희해한의원 이지은 원장은 "자궁근종은 자궁을 이루고 있는 근육층 안에 혹이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며 "종양이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장막하, 점막하, 근층내 근종으로 구분되고 자궁근종이 커지면 부정출혈이나 통증, 압박감, 빈뇨,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임과 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며 "극심한 생리통 또한 대표적인 자궁근종증상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생리통이 있다면 자궁근종으로 인한 증상인지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통 자궁근종치료를 위해 자궁을 적출하는 수술을 추천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수술에 대한 부담에 치료를 망설이는 이들도 있는데, 이 때 보존적인 치료가 가능한 한방치료가 해답이 될 수 있다. 경희해한의원에 따르면 한방 자궁근종치료를 통해 자궁근종의 근본원인을 해결하는 게 가능하다고 한다.
이 때 보존적인 자궁근종치료로 어혈을 제거하는 처방이 이뤄진다. 찬 기운이 자궁에 스며들면 자궁 내 혈과 기가 통하지 않아 어혈이 생기게 된다. 이 어혈이 뭉쳐서 딱딱하게 굳어져 양성종양, 즉 자궁근종이 형성된다고 한다. 이러한 어혈을 풀어줘야 자궁근종을 치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체질과 증상에 따라 맞춤 처방된 한약으로 어혈을 제거하고 자궁 내 기혈순환을 촉진시켜 치료한다는 것. 또한 자궁과 골반의 순환을 촉진하는 봉침 및 약침치료를 비롯해 하복부를 따뜻하게 하는 뜸치료, 어혈과 담음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부항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는 자궁근종증상 완화는 물론 장부 기능 회복 촉진해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이 원장은 "자궁근종치료 효과를 높이고 싶다면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 생활관리를 함께 하는 것이 좋다.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 등의 생활습관의 교정이 병행된다면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