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작년 합계출산율 0.98명으로 추락…"인구감소 빨라질 듯"

4분기에는 0.88명까지 떨어져…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1명 미만
서울 출산율 0.76명…인구 자연증가 2만8천명에 그쳐 사상 최저

지난해 우리나라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가 사상 처음 1명 아래로 떨어졌다. 사망자 수는 29만8천900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 우리나라 인구는 1970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적은 2만8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8년 출생·사망통계(잠정)'를 보면 작년 합계출산율은 0.98명으로 떨어졌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한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우리나라 여성이 평생 1명 이하의 아이를 낳는다는 의미"라면서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앞으로 인구감소속도가 굉장히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은 2.1명이다.

작년 수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의 평균 1.68명(2016년 기준)을 크게 밑돈다. OECD 국가 중 1명 미만인 곳은 없어 압도적인 꼴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의 출산율 저위 추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인구감소 시점은 2028년이지만, 이미 출산율은 저위 추계 수준을 밑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보다 인구감소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의 작년 출생아 수는 32만6천900명으로 전년 35만7천800명보다 3만900명(8.6%) 감소했다. 1970년 통계작성 이후 최저치다.

우리나라의 한 해 출생아 수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1970년대만 해도 100만명대였던 출생아 수는 2002년에 40만명대로, 2017년에는 30만명대로 추락한 뒤 1970년 통계작성 이래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반면, 작년 사망자 수는 29만8천900명으로 전년보다 1만3천400명(4.7%) 늘어나 1983년 통계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80대가 10만명으로 전년보다 7.4% 늘었고, 70대가 7만1천200명으로 1.7%, 90세 이상은 3만8천300명으로 10.4% 각각 증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