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50대가 가구주인 가계의 명목 월평균 가처분소득(전국·2인 이상)은 412만원으로 1년 전보다 2.4%(10만2천원) 줄었다. 2009년 2분기(-2.9%)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이는 전체 가구 소득 증가세와 상반된 흐름이다.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구 가처분소득은 1년 전보다 2.1% 늘었다. 2015년 2분기(3.1%) 이후 증가 폭이 가장 컸다.
50대는 가장 많은 인구가 몰려 있는 연령층으로, 1955∼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도 포함돼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지난해 50대 인구 비중은 16.6%로, 40대(16.4%)를 넘어섰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지난해 상반기 3% 안팎의 증가세를 유지했다. 이후 3분기 제자리걸음(0.0%)에 이어 4분기에는 2013년 4분기(-0.5%) 이후 5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가처분소득은 명목소득에서 조세·연금·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다. 가처분소득이 줄었다는 것은 가계의 경제적 여력이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 감소는 최근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계속된 고용 부진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50대 가구주 가계의 비소비지출은 125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15.5%(16만8천원) 늘었다. 이 중 이자 비용은 4만1천원(48.2%) 늘면서 증가세를 이끌었다. 경상조세도 7만2천원(42.2%) 늘었다. 최근 가계 부채가 늘어난 상황에서 지난해 금리가 올라 50대 가구주의 이자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50대 가구주 가계 구성원의 취업인원수 감소율이 60세 이상 가구주 가계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며 고용 악화를 50대 가계의 소득 감소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