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혼인율 통계작성 후 최저, 인구 감소와 취업난 등이 영향

통계청이 20일 공개한
통계청이 20일 공개한 '2018년 혼인·이혼 통계' 자료를 보면 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를 의미하는 조(粗)혼인율은 작년에 전국 행정기관 신고 기준으로 5.0건을 기록해 1970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혼인율이 통계 작성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연령층 인구가 줄어든데다 청년의 경제적 자립이 늦어진 점이 결혼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18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를 의미하는 조(粗)혼인율은 지난해 전국 행정기관 신고 기준으로 5.0건이었다.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조혼인율은 1970년에는 9.2건이었고 1980년 10.6건을 기록했다. 이후 감소세가 이어졌고, 특히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7년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 전체 혼인 건수는 25만7천622건으로 2017년보다 6천833건(2.6%) 줄었다. 전년 대비 혼인 건수는 2012년부터 계속 감소했다. 연간 혼인 건수는 1971년(23만9천457건), 1972년(24만4천780건)에 이어 2018년이 통계 작성 이후 세 번째로 적었다.

혼인 연령은 높아졌다. 2018년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 33.2세, 여성 30.4세로 남녀 모두 전년보다 0.2세 상승했다. 2008년과 비교하면 남성은 1.8세, 여성은 2.1세 높아졌다.

지난해 혼인 신고한 이들을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은 30대 초반이 36.0%로 가장 많았고 20대 후반 21.4%, 30대 후반 19.0% 순이었다. 특히 20대 후반은 10년 전 32.8%보다 많이 줄었다.

여성의 경우 20대 후반 35.1%, 30대 초반 29.9%, 30대 후반 12.3% 순이었다. 20대 후반 47.6%, 30대 초반 21.1%, 20대 초반 11.4%였던 2008년과 비교해 20대 후반의 비중이 크게 떨어졌고, 30대 초반이 상승했다.

정부는 인구와 경제적 요인, 가치관 변화 등이 혼인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을 주로 하는 30대 초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인데다 20대와 30대의 실업률 증가가 혼인 감소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