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길냥이에게 급식소를'… 대구시 동물유기 억제 정책 확대한다

자연사·안락사 처하던 유기견·길고양이 치료 후 입양 지원, 길고양이 중성화·급식소도 운영

대구시가 유기동물 보호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대구수의사협회 직원이 대구 남구 한 주택가에서 중성화 수술을 마친 고양이를 풀어주는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시가 유기동물 보호정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대구수의사협회 직원이 대구 남구 한 주택가에서 중성화 수술을 마친 고양이를 풀어주는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시가 버려지거나 자연발생한 도심 속 개·고양이를 보호하고 동물 유기를 억제하기로 했다. 길고양이 급식소를 운영하고 유기동물 입양을 지원하는 등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대구시는 올해 8억7천만원을 들여 유기동물 관리 강화책 등 각종 반려동물 보호사업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우선 유기견·길고양이 등 유기동물을 포획해 질병 검사 등을 거친 뒤 새 주인에게 입양되도록 돕는 사업을 확대한다.

올해 길고양이 1천900마리를 대상으로 대량 번식을 억제하는 중성화(TNR) 수술을 벌이는 한편, 길고양이를 위한 급식소도 구·군별 1곳씩 모두 10곳(단, 달서구·수성구는 2곳)씩 운영한다.

이 밖에도 ▷5월 반려동물 축제(대구펫쇼) 개최 ▷펫쇼 행사장 등에서 반려동물 배변봉투 3만2천 세트 배부 ▷반려견 공동생활지침서 보급 ▷동물등록제에 따른 반려동물 등록 개체 6만6천 마리에서 7만 마리로 확대 등 정책을 펼친다.

이 같은 사업은 사람에 의해 버려지거나 자연 속에서 번식한 동물이 자연사·안락사에 처하지 않도록 막고 좋은 주인 품에서 안정적 삶을 누리게끔 돕고자 마련됐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역 내 '유기동물' 수는 2017년 4천187마리에서 지난해 4천808마리로 15%가량 늘었다. 유기동물에는 길고양이 등 자연번식한 개체 가운데도 부상 등을 이유로 보호소에 옮겨진 경우가 포함된다. 같은 기간 새 주인에게 입양된 유기동물은 1천200여마리에서 1천800여마리로 50% 증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