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경연, 올해 경제성장률 0.3%p 낮아진 2.4% 전망

"고용시장도 회복 난망"…실업률 0.2%p↑·취업자 10만2천명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KERI)이 반도체 단가 하락,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등에 따른 수출 성장세 둔화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2.4%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딜라이트매장에 전시된 반도체 웨이퍼. 연합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KERI)이 반도체 단가 하락,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등에 따른 수출 성장세 둔화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2.4%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딜라이트매장에 전시된 반도체 웨이퍼. 연합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KERI)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지난해보다 0.3% 포인트 낮은 2.4%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24일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19년 1분기'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의 예상치는 정부가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2.6%∼2.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6%로 전망한 것보다 낮다. 다만 한경연은 지난해 말 발표한 올해 성장률(2.4%)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지는 않았다.

한경연은 성장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수출 성장세 위축, 투자 부진 지속을 꼽았다. 먼저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3.9%보다 1.0%p 낮은 2.9%로 내다봤다. 한경연은 반도체 단가의 급격한 하락,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등을 수출 성장세 둔화의 배경으로 지목했다.

건설투자는 지난해보다 5.0%, 설비투자는 1.0% 줄어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경연은 성장 둔화에 따른 시설물 증설 유인 부족, 금리 상승으로 인한 자금조달 부담 상승 등으로 건설·설비 투자가 위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상수지는 주요 수출국 경기 둔화와 교역조건 악화로 지난해보다 134억달러 감소한 630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관측했다. 민간소비는 지난해보다 0.3%p 감소한 2.5% 성장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심리 악화,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 자산가격 하락 등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경연은 또 경기 둔화로 인해 고용여건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취업자가 지난해보다 6천명 늘어나는데 그치며 10만2천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실업률은 지난해 3.9%에서 악화한 4.1%로 전망했다.

한경연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고용 효과가 높은 건설업의 투자 급감으로 건설업 고용에서만 취업자가 16만7천명 이상 줄어들어 고용시장 회복의 제한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