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청 신청사 후보지 단점 말말말… "건물·부지 매입비, 진입로 확장, 도심서 너무 먼 거리 감안해야"

중구 "확장성", 북구 "부지 매입", 달서구 "교통혼잡", 달성군 "치우친 입지" 각각 한계로 지목돼

시청 신청사 유치전에 뛰어든 중구·북구·달서구·달성군 등 기초단체들은 각각 다른 경쟁 후보지에 대해 경제성, 접근성, 역사성 등을 기준으로 냉철한 평가를 내렸다.

이 평가에 따르면 중구 현 시청사는 부족한 업무공간을 확장하는 것이 과제로 꼽혔고, 북구 옛 경북도청 터는 정부 소유지로 전환할 부지 매입비용 충당이 1순위 문제로 지목됐다.

또한 달서구 옛 두류정수장 터는 진입로 확장 문제, 달성군 LH홍보관 터는 대구 도심에서 멀리 치우친 위치 등이 각각 단점으로 지적됐다.

대구두류정수장사업소.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대구두류정수장사업소.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현 대구시청사, 건물 확보 비용 커

중구가 내건 현 시청사 터는 재건축에 따른 건물 철거·확장 비용 부담이 문제로 지적됐다.

달서구청 관계자는 "현 청사만 해도 포화상태인 탓에 대구시가 옛 경북도청을 별관으로 임차해 쓰고 있다. 현 부지에 시청사를 존치하려면 값비싼 중구 땅값을 지불하며 인근 부지를 매입해야 하는 등 청사 건물 확장성이 낮다"고 했다.

시청 남쪽 주차장(1만2천594㎡)에 별관을 신축하더라도 그 바닥면적이 넓지 않고, 주변의 개인·법인 소유 부지 9천145㎡를 추가 매입해야 공간을 충당할 수 있어 경제성이 낮다는 지적도 나온다.

북구청 관계자는 "현 청사에서 부지를 더 넓히기 어려울 것이다. 비싼 땅값 탓에 확장성도 부족하다"고 말했다. 달서구청 관계자도 "과거 대구 중심에 있던 탓에 과포화한 좁은 입지에서 비싼 비용을 충당해 가며 유지할 이유가 없다. 달서구·달성군 확장에 따라 대구 중심지도 남서쪽으로 옮겨왔다"고 덧붙였다.

달성군청 관계자는 "현 시청사 부지는 업무공간 여력이 없다. 주변 건물을 매입하는 비용도 크게 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구 미래 발전을 위해서라도 시청 신청사는 반드시 넓은 외곽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옛 경북도청 터, 높은 부지매입비 감당해야

북구가 앞세운 옛 경북도청 터는 부지 매입비 부담이 1순위 단점으로 꼽혔다.

전체 면적의 92%가 경북도 소유지인 이곳은 조만간 도청이전특별법에 따라 정부 소유로 바뀐다. 기획재정부는 대구시가 이곳에 신청사를 지으려면 해당 부지를 매입해야 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부지 매입비는 2천억원 안팎으로 추산되고, 현재 별관으로 사용 중인 업무 공간에 본관 직원까지 모두 옮기려면 건물 확장은 물론 공공청사로의 도시계획 시설 변경도 뒤따라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중구청 관계자는 "북구는 달서구 다음으로 인구가 많고 면적도 지역에서 3번째로 크다. 균형발전을 이유로 시청을 북구로 옮기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시민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점도 지적 대상이다. 가장 가까운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과 1천600m 떨어졌고, 가까운 시내버스 정류장을 지나는 버스노선은 15개에 그친다. 동대구역과는 2.9㎞ 떨어진 데다 북대구나들목·대구공항과도 각각 2.6㎞, 3.6㎞ 떨어졌다.

달서구청 관계자는 "경북도청 터는 주변을 지나는 도시철도가 없어 승용차와 버스만 이용할 수 있다. 시민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지금도 차가 없으면 시청 별관을 이용하기 어렵다는 시민들이 많다"고 말했다.

달성군청 관계자는 "신천대로·동로가 지나지만 고속도로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 타 지역민 접근성이 낮다. 기존 도청부지에 새로 청사를 지으려면 기존 건물을 철거하는 비용도 만만찮을 것"이라고 했다.

◆옛 두류정수장 터, 비좁은 진입로에 교통혼잡

달서구 두류정수장은 ▷기존 정수장 사무공간 등 시설을 철거하는 비용이 드는 점 ▷인근에 주거지역과 학교가 밀집해 교통혼잡에 따른 주민 불편 우려 ▷왕복 4차로에 그치는 진입로 확장에도 어려움이 예상되는 점 등이 한계로 지목됐다. 아울러 용도지역이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돼 있어 '수도' 시설을 폐지하고 공공청사로 전환해야 한다.

중구청 관계자는 "달서구는 인구가 대구에서 가장 많고 면적도 중구의 8.8배로 비대한 곳이다. 이런 곳에 시청사까지 옮긴다면 지역 균형발전을 해친다"고 지적했다.

북구청 관계자도 "달서구는 두류정수장까지 진입하는 왕복 4차로를 확장해야 해 인근 상가와 주거지 등과의 보상 절차가 만만찮다. 교통여건을 개선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취수장을 긴급하게 쓸 때를 대비해 기존 시설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달성군청 관계자는 "대구시가 기존 취수장을 폐쇄하는 등 갑작스러운 물 문제가 발생한다면 예비 취·정수장이 필요할 수도 있다. 그대로 보존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대구시청 신청사 건립를 위해 달성군이 내세운 화원읍 설화리 563번지 일대 LH 소유 3만8천882㎡ 규모의 부지.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시청 신청사 건립를 위해 달성군이 내세운 화원읍 설화리 563번지 일대 LH 소유 3만8천882㎡ 규모의 부지.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달성군 화원읍, 남서쪽 치우쳐 접근성 꼴찌

달성군은 지도상 대구 중심에서 가깝다고 주장하지만 시민들이 느끼는 달성군 화원읍까지의 심리적 거리감은 상당하다. 중구청 한 관계자는 "달성군 후보지는 현재 대구시청에서 30분, 거리로도 20㎞ 이상 떨어진 곳이다. 이곳을 도심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북구청 관계자도 "대구 지도상에서 중심에 가깝다는 달성군의 주장은 어처구니가 없다. 달성군 면적 중 상당 부분이 산지와 농지 등으로 이뤄져 거주 인구가 많지 않다"며 "남서쪽에 치우친 이곳에 신청사가 들어서면 시민들이 겪어야 할 불편은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드넓은 부지에 다양한 시설과 공원 등을 연계 개발할 수 있다는 달성군의 주장에 대해서도 반대의견이 나온다.

달서구청 관계자는 "상권 등이 발달하지 않은 산지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오히려 신청사 개발에 난제가 될 수 있다"며 "현 달성군청 사례처럼 허허벌판에 청사만 달랑 들어서게 될 위험도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